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탈리아와 한국과의 관계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이탈리아와 한국의 외교·경제·문화적 관계. 이탈리아와 한국과의 공식적인 외교관계는 1956년 11월에 시작되었다. 한국은 이탈리아에 승용차, 합성수지, 열연강판, 냉연강판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가방, 신발, 승용차, 직물제의류 등을 수입하고 있다. 양국 간의 FTA는 2011년 7월부터 정식 발효되었으며, 이 밖에도 무역·문화협정, 경제협력협정, 이중과세 및 탈세방지 협약, 관광협력협정 등 다수의 협정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협력하고 있다. 이탈리아 로마에 설립된 한국문화원은 이탈리아에 한국 문화를 알리고 양국 예술인의 인적 교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탈리아와 한국의 국기

ⓒ argu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외교

한국은 일찍이 마르코 폴로에 의해 고려라는 이름으로 이탈리아에 처음 소개되었다. 그러나 직접적인 교류를 시작한 것은 19세기 후반에 들어서이며, 1884년 6월 26일에 우호·통상·항해에 관한 협정이 체결되었다. 1905년에 을사늑약으로 조선의 외교권이 박탈당하면서 이탈리아와의 관계도 끊어졌다.

이탈리아는 한국전쟁 때 유엔회원국이 아니었으므로 정규군을 파견하지는 못했지만 전후 유엔한국부흥위원단을 통하여 200만 5000달러를 기증하기도 했다. 두 나라가 수교를 맺은 것은 1956년 11월 24일이며 한국은 1957년 9월에 주 이탈리아 대사관을 개설했으며, 이탈리아는 1957년 12월에 주 대한민국 대사관을 개설했다.

2000년대에는 2000년 3월에 김대중 대통령의 이탈리아 방문을 시작으로, 2007년 2월 노무현 대통령의 이탈리아 방문, 2007년 4월에 프로디 총리의 방한, 2009년 7월 이명박 대통령의 이탈리아 방문, 2009년 9월에 나폴리타노 대통령의 방한, 2012년 3월에 몬티 총리의 방한, 2014년 10월에 박근혜 대통령의 이탈리아 방문, 2018년 10월과 2021년 10월에 문재인 대통령의 방문 등 정상급 교류가 이어졌다.

한편 이탈리아는 북한과 2000년 1월에 수교했으며, 북한은 2000년 7월에 주 이탈리아 북한 대사관을 개설했고 이탈리아는 주 대한민국 이탈리아 대사관에서 겸임한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이탈리아는 유럽국가 중 우리의 중요한 교역상대국이다. 한국의 주요 대이탈리아 수출품은 승용차, 합성수지, 열연강판, 냉연강판 등이며, 수입품은 가방, 신발, 승용차, 직물제 의류 등이다. 한국의 대이탈리아 수출액은 2023년 기준 36억 9,409만 달러이며, 수입액은 72억 9,853만 달러이다. 한국은 이탈리아에 2017년 기준 누계로 8.68억 달러, 이탈리아는 한국에 6.65억 달러를 투자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는 한국 기업의 진출 및 상담을 돕기 위해 밀라노무역관을 설치했고, 한국에는 주한 이탈리아 상공회의소가 있다.

2007년 5월에 협상 개시된 한국과 이탈리아와의 자유무역협정(FTA)(한국-EUFTA)은 총 8차례의 협상을 거쳐 2011년 7월에 정식 발효되었다. 이 밖에도 특허권·상표권 보호에 관한 각서교환(1961년 3월), 무역·문화협정(1965년 3월), 사증(비자) 및 사증(비자)수수료 면제에 관한 각서 교환(1975년), 경제협력협정(1982년 5월), 과학 및 기술협력협정(1984년 2월), 투자증진 및 상호보호 협정과 이중과세 및 탈세방지 협약(1989년 1월), 관광협력협정(2000년 3월), 사회보장협력협정(2005년 3월) 등이 체결되어 있다.

문화교류·교민 현황

양국 간 민간 차원의 문화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정부 차원으로는 2016년 10월에 이탈리아 로마에 한국문화원이 개원해 이탈리아 현지에서 한국문화를 알리고 양국 예술인의 인적교류를 활성화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반면 한국에는 이탈리아문화원이 개원되어 있어 이탈리아 문화의 문화·예술 홍보 및 교류에 이바지하고 있다.

이탈리아에 한글학교 3개가 설립되어 있어 교민과 이탈리아인의 한글교육에 기여하고 있으며, 1968년에 창립된 한인회는 한인사회의 발전과 권익보호를 도모하고 한국의 우수한 문화, 예술 소개를 통해 국위를 선양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2023년 기준 이탈리아에는 4,499명의 재외동포가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라치오 주와 롬바르디아 주에 거주하고 있다. 한국에는 2023년 기준 1,080명의 이탈리아 등록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럽

유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탈리아와 한국과의 관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