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즈미르

다른 표기 언어 Izmir
요약 테이블
위치 튀르키예 서부 이즈미르 주
인구 2,993,000명 (2020년 추계)
면적 12,012㎢
언어 튀르크어
대륙 중동
국가 튀르키예

요약 튀르키예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 대규모 항구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에게 해가 깊이 만입한 이즈미르 만 가장 안쪽 연안에 있다. 널찍한 대로와 현대식 건물들이 늘어선 시가지가 키질출루 강의 소규모 삼각주 평원과 남쪽 고지 및 산등성이에 위치한다. 상업 중심지는 코나크이며, 남서쪽으로 카란티나·귀젤리알리, 시장 북쪽으로 에슈렙파샤에 주택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코나크 남쪽에는 옛 이즈미르 성채가 세워졌던 카디페칼레가 솟아 있다. 북쪽의 알산자크에는 항구가 있으며, 북동쪽의 만을 끼고 있는 교외지대에 공업이 집중되어 있다. 이즈미르는 지중해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들 중 하나로 지난 5,000년 동안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에페소스·페르가뭄 같은 고대 유적지와 휴양지가 가까이에 있어 관광업이 번창하고 있다.

이즈미르(Izmir)

ⓒ 31774/Pixabay | Public Domain

튀르키예에서 3번째로 큰 도시로 대규모 항구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에게 해가 깊이 만입한 이즈미르 만 가장 안쪽 연안에 자리잡고 있다. 널찍한 대로(大路)와 1924년 이후에 건설된 현대식 건물들이 늘어서 있는 현대식 시가지가, 대체로 이즈미르 만 동쪽 끝을 따라 흐르는 키질출루 강(고대명은 멜레스 강)의 소규모 삼각주 평원과 남쪽 고지 및 산등성이에 위치한다.

도시교외지역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이즈미르 만 건너편에 있는 카르시야카(옛 이름은 코르델리아)와 거의 연결되고 있다. 상업 중심지는 코나크이며, 남서쪽으로 카란티나·귀젤리알리, 시장 북쪽으로 에슈렙파샤에 주택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코나크 남쪽에는 옛 이즈미르 성채가 세워졌던 카디페칼레(파구스 산:[165m])가 솟아 있다. 북쪽의 알산자크에는 최근에 확장된 항구가 있으며, 북동쪽의 만을 끼고 있는 교외지대에 공업이 집중되어 있다.

이즈미르는 지중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들 가운데 하나로서 지난 5,000년 동안 지속적으로 중요한 역사적 역할을 해왔다. 발굴물들을 통해 트로이의 첫번째 도시와 같은 시기인 BC 3000~2000년경 이곳에 도시가 있었다는 사실이 드러났으며, BC 1000년경의 유물로 알려진 도자기가 출토되면서 이 도시가 그리스의 도시였음이 처음으로 명확히 입증되었다.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이 그리스 도시는 아이올리아인들에 의해 건설되었지만 곧 이오니아인에게 점령되었다고 한다.

중소도시로 출발해 7세기에는 이미 육중한 요새가 갖추어지고, 2층 가옥들이 늘어선 가로변으로 이루어진 위풍당당한 도시로 성장했다. BC 600년경 리디아의 알리아테스에게 점령된 후 300년 가까이 도시로서의 기능을 잃었다가, BC 4세기에 알렉산드로스 대왕 또는 그의 부관들에 의해 파구스 산을 중심으로 한 새 장소에 재건되었다. 곧 이어 소아시아의 주요도시로 부상했고, 이후 로마의 아시아 속주 가운데 한 문관행정구의 중심지가 되면서 베소스 및 페르가뭄과 더불어 '아시아 제1의 도시'라는 자리를 놓고 각축을 벌였다.

제국 황제들이 다녀가기도 했으며, 도시의 부(富)와 아름다움, 도서관, 의료학교, 수사학의 전통 등으로 각광을 받았다. 이곳을 흐르는 멜레스 강 기슭에서 호메로스가 태어났다는 이야기도 전해내려온다.

항구도시 스미르나는 그리스도교의 초기 중심지들 가운데 하나로서,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을 때 해군주(海軍州) 사모스의 중심지였으며, 14세기초 투르크멘의 아이딘 공국(公國)에 점령되었다. 이어 클레멘스 교황의 지원을 받은 십자군과 중앙 아시아의 정복자 티무르에게 차례로 정복된 후 1425년경 오스만 제국에 합병되었다.

그후 1688, 1778년의 지진으로 심한 손상을 입었으나, 수많은 유럽계 주민들이 거주하는 오스만의 번창하는 항구로 남아 있었다. 1919년 5월 그리스군에게 점령당하면서 전투중 심하게 파괴되었고, 1922년 9월 튀르키예 군대에 의해 다시 점령되었다.

이즈미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남부사령부의 본부로 선정되었으며, 이에 힘입어 발전을 거듭했다.

현재 교사양성학교와 1955년에 창립된 에게대학교가 있다. 이스탄불 다음 가는 공업지역으로 식품, 시멘트, 면직물, 모직물 등을 생산하며, 석유화학공업 및 기계공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매년 대규모 국제무역박람회가 열린다. 수출품으로는 공산품·양탄자·견직물 등과 함께 배후지에서 생산되는 담배·무화과·목화·야채 등의 농산물이 있다. 이즈미르의 기념비적인 건물로는 부분적으로 발굴된 아고라(정치성을 띤 인민대회가 열리던 광장) 유적과 키질출루의 고대 송수로들이 있다.

고고학박물관에 유물들이 잘 보존된 채 소장되어 있고, 에페소스·페르가뭄 같은 유명한 고대 유적지와 많은 휴양지가 가까이에 있어 관광사업이 번창하고 있다. 튀르키예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해안지방은 퀴취크멘데레스(小멘데레스) 강과 게디즈 강 유역의 비옥한 관개지역과 삼각주 평야를 포함한다.

지도
이즈미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중동

중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이즈미르


[Daum백과] 이즈미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