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악보에 나타난 음높이보다 실제음이 높거나 낮은 음을 내는 악기.
클라리넷, 잉글리시 호른, 색소폰 등이 이러한 종류의 악기이며 이조악기의 악보상의 음은 절대 음높이가 아니라 상대 음높이이다. 이런 방식으로 작곡하는 것은 연주자가 어떤 악기를 연주하다 그 악기와 관련된 다른 악기를 운지법이나 다른 연주 기법을 익히지 않고도 쉽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하려는 역사적인 관습이다(예를 들면 E♭ 클라리넷에서 B♭ 클라리넷, 또는 잉글리시 호른에서 오보에로 옮겨가는 경우처럼).
이조악기의 이름은 연주자가 가온다(C)음을 연주했을 때 실제 나오는 음높이에 따라 붙여진 것이다(예를 들어 B♭ 클라리넷의 경우 가온다(C)음을 연주하면 실제로는 B♭음이 남). 따라서 실제 음높이가 악보 음높이보다 높거나 낮다면 악보 음높이는 그만큼 상향·하향 조정되어야 하고, 예를 들어 C장조 음악에서 B♭ 클라리넷 악보는 D장조로 기보되어야 한다.
이조악기는 대부분 목관악기나 금관악기이지만 건반악기도 있다. 피콜로·콘트라바순처럼 실제 음높이가 기보 음높이보다 한 옥타브 높거나 낮은 음(예를 들면 c′음 위 c)을 내는 악기는 이조악기로 분류되지 않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