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정면

다른 표기 언어 李廷冕
요약 테이블
출생 1925. 2. 23, 전남 광주
국적 한국

요약 지리학자. 1956년 한국 최초로 지리학 석사학위를 받고 미시간대학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1972년부터 유타대학의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일반지리학과 방법론에 걸쳐 폭넓게 강의하며 응용지리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업적을 내었다. 동양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다채로운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미국 학계에 정평이 나 있다. 2009년에는 아리랑을 알리기 위해 책 를 출간한 바 있다.

이정면(李廷冕)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리학자.1925년 전라남도 광주에서 태어나 광주사범학교를 거쳐 1951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학과를 졸업한 후 휘문고등학교에 교사로 재직하면서 서울대학교 대학원에 진학, 1956년에 한국 최초의 지리학석사학위를 받았다. 1957년에 도미, 미시간대학 지리학과에서 수학하여 1961년 2월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60년에 귀국하여 1967년에 경희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경북대학교 등에 출강했다. 1967~70년에 말레이시아 국립 말라야대학 교환교수, 1970~72년까지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교환교수로 근무한 후, 1972년부터 미국 유타대학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1980년대에는 일본 쓰쿠바대학[筑波大學]과 호세이대학[法政大學]에 교환교수를 지내기도 했다.

토지이용계획, 경제지리학, 인구이동론, 정치지리학, 항공사진 판독 및 원격탐사 등 일반지리학과 방법론에 걸쳐 폭넓게 강의하면서 응용지리학 분야에 많은 연구업적을 내었다. 특히 동양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교환교수 근무를 통해 얻은 다채로운 현장 경험, 그리고 한국어와 영어는 물론 일어·중국어·프랑스어에 이르기까지 탁월한 언어 구사능력을 토대로 한 동아시아 지역에 관한 연구와 강의는 미국 학계에서 정평이 나 있다.

〈한국의 토지이용〉(1964)·〈한국인의 이동이 고대 일본의 간토[關東]지방에 미친 영향〉(1984) 등 100편에 가까운 연구 논문과 보고서를 국내외 학술지와 국제학회에 발표하고 있다. 교수 생활의 대부분을 미국에서 보냈지만, 학술활동의 영역에 있어서는 한국 지리학계와 긴밀한 유대를 유지하면서 양국 지리학계간에 교류를 늘리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이러한 그의 면모는 60편의 논문이 실린 회갑기념논문집 〈지리학의 이론과 응용〉(1985)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한편, 2009년에는 한국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아리랑을 해외에 알리기 위해 〈Arirang, song of Korea〉를 출간해 전 해외공관과 주한 외국대사관에 무상으로 제공하기도 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정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