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정

다른 표기 언어 李霆 동의어 중섭, 仲燮, 탄은, 灘隱, 석양군, 石陽君
요약 테이블
출생 1541
사망 1626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중기의 왕족화가.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섭(中燮), 호는 탄은(灘隱). 세종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익주군 지(益州君枝)이다. 석양정(石陽正)에 봉해졌다가 뒤에 석양군으로 봉해졌다.

시·서·화에 뛰어난 삼절로 명성이 높았으며 특히 묵죽화(墨竹畵)에서는 유덕장(柳德章)·신위(申緯)와 함께 조선시대 3대가로 손꼽힌다.

임진왜란 때 일본군의 칼에 맞아 오른팔을 크게 다쳤으나, 회복 후 더욱 격조가 높아졌다고 한다. 같은 시대의 최립(崔岦)과 허균(許筠)은 그의 묵죽화의 자연스러움과 사실성을 함께 칭송했으며, 이정구(李廷龜)는 송대 소식(蘇軾)의 신기와 문동의 자연성을 모두 갖추었다고 평했다.

그의 묵죽화법은 조선 초기의 세죽(細竹) 경향에서 탈피해 대나무 줄기와 잎의 비례가 좀더 조화되는 모습과 짙은 먹과 옅은 먹의 대나무를 한 화면에 배합해 거리감·공간감의 조성효과를 내면서 보다 서정적이고 다양한 변화를 부여했다는 데 특징이 있다. 사의성과 사실성을 융합시킨 그의 이러한 화법은 당대는 물론 후대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묵죽도〉·〈통죽도 筒竹圖〉(국립중앙박물관)·〈풍죽도〉(개인 소장)·〈묵죽도〉(호암미술관) 등이 있다.

묵죽도

조선 화가 이정의 대표적인 대나무 그림 작품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이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