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재

다른 표기 언어 李縡
요약 테이블
출생 1680(숙종 6)
사망 1746(영조 22)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한 노론 준론의 대표적 인물. 호락논쟁 당시 이간의 학설을 계승하여 낙론을 주창했다. 1702년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이 되었다. 1707년 봉교로서 문과중시에 급제했으며, 이듬해 홍문관부교리에 임명되었다.
형조참의·병조참의·예조참의를 두루 거친 뒤 1716년 동부승지로 승진했다. 이때 <가계원류>를 둘러싼 시비가 일어나자 노론의 입장에서 소론을 논박했다. 1721년 예조참판으로 재직하던 중 소론의 재집권으로 삭탈관직당한 데 이어 신임사화로 숙부 만성이 옥사하자 정계에서 물러나 성리학 연구에 전념했다. 1725년 노론이 재집권하자 대제학·이조참판을 지냈으나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 중심의 정국이 성립되면서 다시 문외출송 당했다. 이후 한천에 은거하면서 후학을 길렀다.

영조의 탕평책(蕩平策)에 반대한 노론 준론(峻論)의 대표적 인물로, 호락논쟁(湖洛論爭) 당시 이간(李柬)의 학설을 계승하여 낙론을 주창했다. 본관은 우봉(牛峰). 자는 희경(熙卿), 호는 도암(陶菴)·한천(寒泉).

아버지는 진사 만창(晩昌)이다. 어려서 숙부 만성(晩成)에게 수학하고,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이 되었다. 1702년(숙종 28)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이 되고 찬집청기사관(纂輯廳記事官)을 겸하여 〈단종실록〉 부록 편찬에 참여했다. 1707년 봉교(奉敎)로서 문과중시에 급제했으며, 이듬해 홍문관부교리에 임명되었다. 1709년 헌납·북평사(北評事)를 지내고 사가독서했으며, 1711년 이조정랑으로서 문학을 겸했다. 이어 형조참의·병조참의·예조참의를 두루 거친 뒤 1716년 동부승지로 승진했다. 이때 〈가례원류 家禮源流〉를 둘러싼 시비가 일어나자 노론의 입장에서 소론을 논박했다.

1719년 부제학을 거쳐 한성부우윤으로 있다가 균전사로 영남지방에 내려가 당면한 토지정책을 논한 것이 문제가 되어 삭탈관직을 당했다. 그러나 곧 다시 등용되어 이듬해 함경도관찰사가 되었다. 1721년(경종 1) 예조참판으로 재직하던 중 소론의 재집권으로 삭탈관직당한 데 이어 신임사화로 숙부 만성이 옥사하자 정계에서 물러나 인제(麟蹄)의 설악으로 들어가 성리학 연구에 전념했다. 1725년(영조 1) 노론이 재집권하자 부제학에 복직하여 대제학·이조참판을 지냈다. 그러나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 중심의 정국이 성립되면서 다시 문외출송을 당했다. 이후 여러 번 영조의 부름을 받았으나 군흉(群凶)을 몰아낼 것을 주청한 그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모두 사양하고 용인의 한천(寒泉)에 은거하면서 후학을 길러내는 데 전념했다.

학문과 사상

이재는 김창협의 문하에서 조광조(趙光祖)·이이(李珥)를 사숙한 조선 후기 성리학계의 대가로서 심성론에 있어서 인물성동론을 주장했던 이간의 학설을 계승하여 한원진(韓元震) 등의 호론을 반박하면서 낙론의 대표적 학자로 활동했다.

그는 인물성론(人物性論)에 관하여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성(性)은 하나의 이(理)로서 천이 처음 이를 부여할 때에는 인성과 물성에 차이가 없으며, 단지 기질의 차이에 의해 달라지는 것이므로 다른 것은 기질지성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호론 진영의 윤봉구와의 논변을 통해 심은 기(氣)이지만 반드시 성과 기를 합하여 설명해야 그 의미가 완성된다고 하면서 윤봉구의 성범심부동설(聖凡心不同說)을 반박하고, 성범심개동설(聖凡心皆同說)을 주장했다. 즉 심을 이기의 합으로 보아 성인과 범인 모두에게 기질지성과 본연지성(本然之性)이 있으며, 발(發)하기 전의 심체(心體)에서는 성인과 범인이 같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한편, 노론의 중심인물로서 의리론(義理論)을 내세워 영조의 탕평책에 반대한 노론 준론의 입장을 대표했다.

서화에 능했으며, 예학에도 밝았다. 문인으로 박성원(朴聖源)·송명흠(宋命欽)·임성주(任聖周) 등이 있다. 〈율곡전서 栗谷全書〉를 산정했으며, 저서로는 〈도암집〉·〈근사심원 近思尋源〉·〈오선생휘언 五先生徽言〉·〈검신록 檢身錄〉·〈존양록 尊攘錄〉·〈사례편람 四禮便覽〉·〈주자어류초절 朱子語類抄節〉 등이 있다. 용인 한천서원(寒泉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