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원경

다른 표기 언어 李源庚

요약 연극연출가.

이원경

대한민국의 연극 연출가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936년 일본미술학교 양화과를 졸업한 뒤 무대미술 및 조명, 극단 운영과 연출, 극작 등에 관여했다.

1938년 도쿄[東京] 축지소극장 미술부에 입단하고, 1940년 극단 고협에서 유치진이 연출하는 〈무영탑〉에 장치를 맡으며 등단했다. 1941년 극단 현대극장 창립동인이 되었다. 1942년 희곡 〈해적 프리헤이즈〉로 국민문학을 통해 등단했으며 무대미술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구 극작술에서 벗어나 장·막의 처리가 자유롭고 무대상의 기교가 뛰어난 작품을 썼다. 1958년에 연출한 〈가족〉은 장면 전환이 빠른 몽타주식 전개방법으로 호평을 받았다.

1952년부터는 국립극장 기획 및 운영위원을 지냈고 1953년 극단 민극을 창단했다. 1954년부터 4년간 서라벌예술대학 교수, 예그린극단 기획실장, 드라마센터 서울연극학교 강사 등을 거쳐 1976년 국내 소극장의 시초인 삼일로 창고극장을 만들었다. 삼일로 창고극장은 추송웅의 〈빠알간 피터의 고백〉 등이 공연된 현존하는 최고의 소극장이다. 1978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으며, 1981년 대한민국예술원 연극·영화·무용분과 회장을 지냈다. 1981년에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대우교수가 되었다.

연출가인 이해랑·이진순과 함께 활동하면서 〈수선화〉·〈김대건 신부〉·〈시라노 드 벨쥬락〉·〈세자매〉 등 연극 70여 편을 연출했다. 대한민국예술원상(1978), 중앙문화대상(1978), 은관문화훈장(1982), 동랑연극상(1982), 대한민국문화예술상(1983)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 〈이원경 희곡집〉·〈연극연출론〉과 창극대본 〈춘향전〉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이원경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