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아

다른 표기 언어 爾雅

요약 지은이와 편찬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공자 이전에 이루어졌고 이후 다수 보완되었으며 한대에도 여러 사람에 의해 보완되었다고 보고 있다. 3권으로 되어 있으며, 현재 전하는 책은 석고·석언·석훈·석친·석궁·석기·석악·석천·석지·석구·석산·석수·석초·석목·석충·석어·석조·석수·석축의 19편으로 되어 있다. 한대의 훈고학 형성과 문자학의 발달에 모태가 되었으며, 고전을 이해하고 고대의 언어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책이다. 주석서로는 진나라의 곽박이 주하고 송나라의 형병이 소한 <이아주소>, 송대 정초의 <이아주>, 나원의 <이아익> 등이 있고, 청대에는 학의행의 <이아의소>, 소진함의 <이아정의>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윤휴가 <이아친속기>를, 계덕해가 <이아편목>을, 이규경이 <독이아변증설>을 지었다.

지은이와 편찬연대는 정확하지 않다. 위(魏)의 장읍(張揖)은 〈진광아표 進廣雅表〉에서 주공(周公)이 저자라고 했고, 한나라 양웅(揚雄)의 〈방언 方言〉과 양나라 유협(劉勰)의 〈문심조룡 文心雕龍〉에서는 공자의 문인이 지었다고 했다. 송나라의 구양수(歐陽脩)와 섭몽득(葉夢得)은 한나라의 학자들이 집록(集錄)했다고 보았다. 현대에는 대체로 공자 이전에 이루어졌고, 공자 직후 다수 보완되었으며 한대에도 계속하여 여러 사람에 의해 보완되었다고 보고 있다. 3권으로 되어 있으며 현재에 전하는 책은 석고(釋誥)·석언(釋言)·석훈(釋訓)·석친(釋親)·석궁(釋宮)·석기(釋器)·석악(釋樂)·석천(釋天)·석지(釋地)·석구(釋丘)·석산(釋山)·석수(釋水)·석초(釋草)·석목(釋木)·석충(釋蟲)·석어(釋魚)·석조(釋鳥)·석수(釋獸)·석축(釋畜)의 19편으로 되어 있다. 책명에 대해서 이(爾)는 '가깝다'[近]는 뜻이고, 아(雅)는 '바르다'[正]는 뜻으로 근정(近正)한 것을 올린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석명(釋名)에서 보이는 설명이다. 한대의 훈고학 형성과 문자학의 발달에 모태가 되었으며, 현존 최고의 훈고학서로 고전을 이해하고 고대의 언어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필요한 책이다. 주석서로는 진(晉)나라의 곽박(郭璞)이 주(注)하고, 송나라의 형병(邢昞)이 소(疏)한 〈이아주소 爾雅注疏〉, 송대 정초(鄭樵)의 〈이아주 爾雅注〉, 나원(羅願)의 〈이아익 爾雅翼〉 등이 있고, 고대언어학에 관한 연구가 발달한 청대에서는 쌍벽을 이루는 연구성과로서 학의행(郝懿行)의 〈이아의소 爾雅義疏〉, 소진함(邵晉涵)의 〈이아정의 爾雅正義〉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윤휴(尹鑴)가 〈이아친속기 爾雅親屬記〉를, 계덕해(桂德海)가 〈이아편목 爾雅篇目〉을, 이규경(李圭景)이 〈독이아변증설 讀爾雅辨證說〉을 지었으나, 대체로 주자학자들에게는 소홀히 취급되었으며 실학자들이 약간의 관심을 가졌을 뿐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이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