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슬람 카스트

다른 표기 언어 Islamic caste

요약 힌두 문화의 영향을 받은 인도와 파키스탄의 이슬람 사회에서 발달한 계급 단위.

남아시아의 이슬람교도 중 대부분은 힌두교도 출신이었다. 이슬람교에는 평등주의적인 교리가 있었지만 이슬람교로 개종한 이들은 힌두교의 관습을 계속 고집했다. 한편 힌두교도들은 이슬람 지배계급이었던 개종자들을 자신들의 계급체계에 독자적인 계급단위로 편입시켰다.

남아시아의 이슬람 사회에서는 아랍 이슬람 이주민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아슈라프('귀족'이라는 뜻의 아랍어 shārῑf의 복수형)와 힌두교에서 개종한 비(非)아슈라프를 구별한다. 아슈라프 계급은 다시 4개의 소(小)계급, 즉 사이이드(원래 마호메트의 딸 파티마와 사위 알리의 후손을 가리킴)·셰이크(아랍어로 '수장'이라는 뜻으로 아랍 또는 페르시아 이주민의 후손이라고 자처하나 개종한 라지푸트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파슈툰(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북서부지역에 거주하며 파슈토어를 쓰는 부족)·무굴(무굴 군대와 함께 인도로 온 터키계 종족)로 나누어진다. 반면 비아슈라프 이슬람 계급은 3가지 신분으로 구성된다. 맨 위에는 셰이크에 흡수되지 않은 라지푸트로 이루어진 힌두 상류계급 출신 개종자들이 있고, 다음에는 직조공 출신인 줄라하와 같은 장인계급, 그 다음에 옛 직업을 지닌 채 이슬람교로 개종한 불가촉천민(不可觸賤民)이 있다. 이들 개종자 집단은 힌두교도들과 비슷한 방법으로 내혼(內婚)관습을 지킨다.

힌두 카스트 제도에서 같은 계급끼리만 식사를 하고 혼인관계를 맺는 관습은 이슬람 카스트 제도에서는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는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아슈라프와 비아슈라프, 이슬람교도와 힌두교도, 비아슈라프에 속한 여러 계급 사이에서는 식사를 함께 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지만, 이슬람교도는 사촌을 비롯한 근친과의 결혼을 선호하기 때문에 내혼관습은 지켜지지 않는다. 근친과 결혼하는 이런 관습을 남아시아에서는 '비야다리'라고 부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슬람 카스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