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히브리 민족의 12지파 가운데 10지파.
이들은 모세가 죽은 후 여호수아의 지도 아래 약속의 땅 가나안에 자리잡았다. 그들의 이름은 아셀·단·에브라임·가드·이싸갈·므나쎄·납달리·르우벤·시므온·즈불룬으로, 모두 야곱의 아들들 또는 손자들이다.
BC 930년 10지파는 북쪽에 이스라엘 왕국을 세웠고, 다른 두 지파인 유다와 베냐민은 남쪽에 유다 왕국을 세웠다. BC 721년 아시리아가 북왕국을 정복한 이후 10지파는 점차 다른 민족에게 동화되어 역사에서 사라졌다. 그런데도 사라진 10지파를 찾게 될 것이라는 믿음이 끊이지 않았다.
예를 들면 9세기 유대인 여행가인 엘다드 하다니는 그 지파들이 삼바티온이라 불리는 건널 수 없는 강(이 강은 평소에는 돌들이 섞여 흐르는 급류를 이루다가 유대인들이 율법에 따라 여행할 수 없는 안식일이 되면 잠잠해진다고 함) 건너 멀리 떨어진 '아비시니아의 강들 건너편'에 살고 있다고 전했다. 마나세 벤 이스라엘(1604~57)은 사라진 10지파의 전설을 이용하여 크롬웰 통치 때 유대인들이 영국에 들어갈 수 있도록 허락을 받아냈다. 사라진 10지파의 후손들이라고 간주되던 사람들로는 네스토리우스파, 모르몬교도, 아프가니스탄인, 에티오피아의 팔라샤스족, 아메리카 인디언들, 일본인 등을 들 수 있다.
1948년 이스라엘이 국가를 세운 이래 그곳에 이주한 많은 사람들 가운데 좀더 다른 인종의 피를 많이 받은 어떤 유대인 그룹은 자신들이 사라진 10지파의 남은 자들이라고 주장했다. 유다와 베냐민 지파의 후손들은 BC 586년 바빌론 포로생활을 마치고 고국으로 돌아가도록 허락받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유대인으로 살아남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이스라엘의 사라진 10지파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