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분석철학에서 기호논리학을 모델로 삼는, 정확하고 모호함이 없으며 분명한 구조를 가진 언어.
모호하며 오해하기 쉽고 때로는 모순적인 일상언어와 대비된다. 빈 출신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철학논고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1921)에서 언어의 역할은 '실재의 그림'을 제공하는 것이고, 진리란 실재와 일치하거나 또는 불일치하는 논리적 명제를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그는 이상언어를 세계에 대한 진술의 의미나 무의미를 결정할 때 꼭 필요한 기준이라고 보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서양철학
서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