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목

다른 표기 언어 李楘
요약 테이블
출생 1572(선조 5)
사망 1646(인조 24)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문백(文伯), 호는 송교(松郊). 아버지는 사옹원봉사 신성(愼誠)이다. 성혼·김장생(金長生)에게 수학했다.

1603년(선조 36) 생원시에 합격한 뒤 성균관에 들어갔다. 1608년 북인에 의해 관직을 추탈당한 성혼의 신원을 상소했다. 1611년(광해군 3) 정인홍(鄭仁弘)이 〈회퇴변척소 晦退辨斥疏〉를 올려 이황(李滉)을 비판하고 스승인 조식(曺植)을 옹호하자, 성균관 유생 500명과 함께 정인홍을 탄핵하여 〈청금록 靑衿錄〉에서 삭제하게 했다. 1612년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사재감직장(司宰監直長)·병조좌랑 등을 지냈으나 대북정권이 서인을 계속 제거하는 과정에서 1615년 파직당했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뒤 서인정권이 들어서자 관직에 복귀하여 정언·수찬·교리·이조좌랑을 지냈고, 다음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인조의 공주 피난길에 호종했다. 이때 이귀(李貴)가 반군과 싸워 패전하자, 그를 파직시킬 것을 상소했다. 1627년 정묘호란 때는 대사간으로서 역시 강화로 인조를 호종했고, 그뒤 부제학·참찬·형조참판을 역임했다. 1636년 병자호란 때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난하자 협수사(協守使)로 성을 방어하면서 주전론(主戰論)을 폈다. 다음해 서울로 돌아온 뒤 주전파들이 물러나자 같이 사직했는데, 곧 다시 복귀하여 대사헌·동지경연사·도승지·원손보양관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송교유고〉가 있으며,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정간사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이목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