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561(명종 16) |
---|---|
사망 | 1613(광해군 5) |
국적 | 조선, 한국 |
종교 | 유교(성리학) |
본관 | 광주(廣州, 지금의 경기도 광주시) |
자 | 명보(明甫) |
호 | 한음(漢陰), 쌍송(雙松), 포옹산인(抱雍散人) |
요약 임진왜란 때 뛰어난 외교 솜씨를 보인 조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명보, 호는 한음·쌍송·포옹산인으로 오성 이항복과 함께 어린 시절의 재치를 보여주는 설화를 모은 ‘오성과 한음 설화’의 주인공으로 알려졌으나, 실제로 이항복을 만난 것은 20세 때라고 한다. 문학에 뛰어났고, 벼슬은 영의정까지 올랐다. 임진왜란 때 많은 활약을 했는데, 왜군이나 명군과 회담을 할 때 자주 참여하여 뛰어난 외교 솜씨와 기백을 보여주었다. 전후에는 4도체찰사로서 전란 후 민심을 수습하는데 힘썼다. 광해군 때 영창대군의 처형과 인목대비의 폐위에 반대하다 관직에서 물러난 후 낙향했다.
개요
조선의 문신. 본관은 광주. 자는 명보(明甫), 호는 한음(漢陰)·쌍송(雙松)·포옹산인(抱雍散人). 영의정 이산해(李山海)의 사위이다. 어려서부터 글재주가 뛰어났으며 약관 20세에 급제한 이후 많은 관직을 거쳐 31세에 대제학에 이르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왕을 모시고 명나라와 일본의 사신을 접견하여 외교적 성과를 거두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민심을 수습한 후 영의정에 올랐다.
초기 생애
1561년 한성에서 아버지 이민성(李民聖)과 어머니 유씨(柳氏)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있었고 문학에 통달했다. 외가가 있는 경기도 포천에서 문재가 뛰어났던 양사언(楊士彦)·양사준(楊士俊)·양사기(楊士奇) 형제들과 교류했다. 민간에서는 어린 시절 이항복(李恒福)과는 죽마고우로 기발한 장난을 잘하여 많은 일화를 남겼다고 알려져 있는데, 잘못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기록에는 이덕형이 이항복을 만난 것은 1580년의 문과 별시에 급제했을 때라고 전한다.
주요 활동과 업적
1580년(선조 13) 급제하여 승문원의 관원이 되었다. 대제학 이이(李珥)가 호당(湖堂)을 뽑을 때 이항복과 함께 뽑혀 1583년 사가독서각주1) 를 했고, 다음해 서총대(瑞蔥臺)의 응제(應製)에서 수석에 선발되었다. 그뒤 부수찬·정언·부교리를 거쳐 이조좌랑이 되었고, 1588년 이조정랑으로서 일본의 사신 겐소(玄蘇)·다이라(平義智) 등을 접대하여 그들의 존경을 받았다. 동부승지·우부승지·부제학·대사간·대사성 등을 역임하고, 1591년 예조참판이 되어 대제학을 겸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왕이 평양으로 피난했는데, 일본군이 대동강까지 이르자 단독으로 일본의 겐소와 회담하고 대의로써 그들을 공박했다. 그뒤 정주까지 왕을 호종하고, 구원병을 청하는 사신으로 명나라에 파견되어 원군을 파병하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명의 원군이 압록강을 건너오자 대사헌으로서 이들을 맞아들였으며, 이어 한성판윤에 올라 명나라 장수 이여송(李如松)의 접반관(接伴官)으로 그와 행동을 같이했다. 1593년 병조판서, 이듬해에는 이조판서로 훈련도감당상을 겸했다. 1595년 경기도·황해도·평안도·함경도 4도체찰부사가 되었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명나라 어사(御史) 양호(楊鎬)를 설복시켜 서울 방어를 강화하게 했다. 이해에 우의정에 오른 뒤 다시 좌의정으로 승진했고, 우의정 이항복의 진언으로 명나라 제독(提督) 유정(劉綎)과 함께 순천에 이르러 통제사 이순신(李舜臣)과 합동으로 적장 고니시(小西行長)의 군사를 대파했다. 1601년 행판중추부사로 경상도·전라도·충청도·강원도 4도체찰사를 겸하여 전란 뒤의 민심수습에 힘썼고, 다음해 영의정이 되었다.
1606년 영중추부사의 한직으로 밀려났으나 1608년 광해군 즉위 후 명나라가 왕의 책봉을 허락하지 않자 진주사(陳奏使)로 명나라에 다녀와서 다시 영의정이 되었다. 1613년 박응서의 상변(上變)으로 삼사(三司)에서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처형할 것을 상소하고 이이첨(李爾瞻) 등이 폐모론을 일으키자 이항복과 함께 이에 적극 반대했다. 그뒤 광해군이 그의 주청에 따라 영창대군을 강화도로 보내자 삼사가 모두 그의 처형을 주장했으나 광해군은 관직을 삭탈함으로써 이를 수습했다. 그뒤 용진(龍津)으로 돌아가 병으로 죽자 광해군이 슬퍼하면서 관직을 복원하도록 명했다.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 상주 근암서원(近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에 〈한음문고(漢陰文稿)〉가 있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