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실리카광물인 석영의 변종으로서 양치류·이끼 또는 다른 식물을 닮은 가지형의 불투명하고 어두운 색 포유물이 포함되어 있는 회색빛 또는 우윳빛 백색의 마노.
포유물은 주로 무기적 기원의 망간 및 철의 산화물이다. 대부분의 이끼마노는 화산암의 풍화된 파편으로 발견된다. 오랫동안 장식용으로 이용되어 온 이끼마노는 주로 인도, 브라질, 우루과이, 소련, 중앙 유럽 및 미국 서부에서 산출된다. 가장 좋은 것들은 평탄하거나 둥근 형태로 연마되며 일부는 색을 개량하기 위해 염색되기도 한다. 이것의 성질은 석영과 같다.
광물명 | 결정계 | 공간군 | 안정영역 | 비고 |
저온석영 (α-석영) | 육방정계 | C312 및 C322 | 573℃까지 | 실리카의 가장 흔한 형 |
고온석영 (β-석영) | 육방정계 | C622 및 C642 | 573~870℃ | 870℃ 이상에서 준안정 |
저온트리다이마이트 (α-트리다이마이트) | 사방정계 | 117℃까지 준안정으로 존재 | ||
중온트리다이마이트 (β1-트리다이마이트) | 육방정계 | 117~163℃에서 준안정으로 존재 | ||
고온트리다이마이트 (β2-트리다이마이트) | 육방정계 | C6/mmc | 870~1,470℃ | 163~870℃에서 준안정으로 존재, 1,470℃ 이상에서 불안정,1,670℃에서 용융 |
저온크리스토발라이트 (α-크리스토발라이트) | 정방정계 | P4121 | 200~250℃에서 준안정으로 존재 | |
고온크리스토발라이트 (β-크리스토발라이트) | 등축정계 | P213 | 1,470~1,713℃ | 200~250℃부터 1,470℃까지 준안정으로 존재, 1,713℃에서 용융 |
키아타이트 (실리카 K) | 정방정계 | P4121 및 P4321 | 자연에서는 아직 발견 안 됨,고압상 | |
코에사이트 (실리카 C) | 단사정계 | C2/c 또는 Cc | 운석충돌에서 특징적인 광물, 고압상 | |
실리카 O | 실온에서 합성산물로서 흔함:SiO2~LiAlO2에서 고용체계열 형성 | |||
리카텔리어라이트 (실리카 유리) | 1,713℃ 이하에서 불안정한 유리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지구
지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