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끼류

다른 표기 언어 moss
요약 테이블
분류 선태식물
서식지 전세계 습기있고 그늘진 곳
크기 약 1cm ~ 1m
꽃말 모성애

요약 선태식물강에 속하는 약 1만 5,000종의 이끼들을 아우르는 총칭. 전 세계 습기 있고 그늘진 곳에서 서식한다. 크기는 매우 다양한데, 주로 포자삭의 구조와 분화 정도에서 차이가 있다. 한국에는 약 500종의 이끼류가 자라고 있는데 이중 13종은 물이끼류이며, 검정이끼류는 검정이끼 1종만 있고 나머지는 모두 참이끼류에 속한다.

슬릿모스|이끼

ⓒ WIKIMEDIA COMMONS (SriMesh) | cc-by-sa

슬릿모스|이끼

ⓒ WIKIMEDIA COMMONS (Newt) | cc-by-sa

개요

선태식물강에 속하는 삼림과 숲의 바닥에 깔려 자라는 약 1만 5,000종(種)의 이끼들을 아우르는 총칭. 삼림과 숲의 바닥에 깔려 자라며 유성세대의 기관이다. 이끼류는 일찍이 페름기(2억 8,000만 년 전에 시작되어 5,500만 년 간 지속되었음)부터 존재해왔고, 제3기인 250만~6,500만 년 전에는 100종 이상이 존재했다. 무스키테스속(Muscites)·프로토스파그눔속(Protosphagnum)·팔라이오히프눔속(Palaeohypnum)과 다른 화석 이끼류들은 현대의 속들과 구조가 유사하다.

형태

크기는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1m 이상인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들은 주로 포자삭의 구조와 분화 정도에서 차이가 있다.

종류

이끼류는 크게 검정이끼류, 물이끼류, 참이끼류 등 3종류로 구별된다. 화강암에 사는 이끼류는 검정이끼목(―目 Andreaeales), 이탄(泥炭)에 사는 이끼류는 물이끼목(Sphagnales)에 속하며, 다른 모든 종류는 참이끼목(Bryales)에 속하는데 이 참이끼목을 종종 'true moss'라고 부르기도 한다.

나무의 북쪽 면에서 자라는 '이끼류'는 녹조류의 모아포균속(毛芽胞菌屬) 식물들이고, 뿔가사리(Irish moss)는 홍조류이며, 수염이끼(beard moss)·아이슬란드이끼(Iceland moss)·참나무이끼(oak moss)·순록이끼(reindeer moss)는 지의류이다.
지의류와 파인애플과(―科 Bromeliaceae) 중에서 다른 식물들 위에 자라는 종들을 스패니시모스(Spanish moss)라고 부른다. 클럽 모스(club moss)는 석송과(石松科 Lycopodiaceae)에 속하는 상록성 풀들이다.

생태

이끼류들은 흔히 습기 있고 그늘진 곳에서 발견되는데, 삼림과 숲의 바닥에 깔려 자라는 종류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바다를 제외한 전세계에 두루 분포한다. 이끼류의 줄기나 잎 같은 구조는 고등식물에서처럼 무성세대가 아니라 유성세대의 기관들이다. 이끼는 분지와 분절증식(分切增殖)에 의해, 잎이나 줄기의 작은 조각의 재생에 의해, 그리고 포자에 의해서 생식이 이루어진다.

포자는 알맞은 조건에서 발아하여 가지가 있는 원사체(原絲體)로 자란다. 가지가 계속해서 갈라져 나와 녹색의 매트를 형성한다. 이끼류는 노출된 기질을 잘게 부수어 무기양분들이 기질에서 빠져나오게 하는데, 이렇게 빠져나온 양분을 다른 식물들이 이용한다. 또한 흙의 표면을 덮고 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침식을 조절하는 데 쓰인다. 이탄을 형성하는 물이끼속(Sphagnum)이 유일하게 경제적으로 중요한 종류이다.

현황

한국에는 약 500종의 이끼류가 자라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이중 대암물이끼(Sphagnum fuscum)를 비롯한 13종은 물이끼류이고, 검정이끼류는 검정이끼(Andreaea rupestris var. fauriei) 1종만 있으며, 나머지는 모두 참이끼류이다.→ 선태식물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스크루모스|슬릿모스|이끼


[Daum백과] 이끼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