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에스키모의 집. ‘이글루’는 ‘집’을 말하며, 임시로 거주하기 위한 이글루는 눈이나 얼음, 물개 가죽이나 천을 이용해서 만든다. 주로 눈과 얼음으로 만든 이글루가 유명하다. 겨울에는 고운 결정의 눈더미를 눈칼로 잘라 만든 눈벽돌을 안으로 쏠리게 계속 쌓아 올려 돔 형태로 를 만든다. 빈틈은 눈으로 채우고 맑은 얼음 등을 끼워 창문을 내고 좁은 반원통형 통로를 통해 안으로 들어간다. 이글루는 보통 한 가족, 또는 동행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만든다.
개요
에스키모가 거주용으로 만든 집. 이글루’라는 말은 ‘집’을 뜻하는 에스키모어 이그들루(igdlu)에서 나온 것으로, 이글룰리르미우트(Iglulirmiut)라는 섬의 마을 이름인 이글룰리크(Iglulik), 혹은 에스키모인을 뜻하는 말과 관계가 있다. ‘이글루’는 집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이므로, 항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은 집도 이글루라고 부른다. 전통적으로 여름에는 물개 가죽을 사용하거나 천으로 만든 천막을 사용했으며, 눈벽돌을 사용해 돔 형태로 만드는 이글루는 겨울철의 임시 거주를 위한 집이다.
이글루 만드는 법
이글루의 크기는 다양하지만, 대체로 한 가족이 살기 알맞은 크기로 만들며 능숙한 에스키모는 1~2시간 안에 이글루를 지을 수 있다. 이글루는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므로, 눈이 없을 때에는 뗏장·돌·나무 등도 이글루를 만드는 재료로 사용한다.
눈 쌓인 벌판에서 이글루를 만들 때에는 먼저 고운 결정의 눈더미를 눈칼로 잘라 눈벽돌을 만들어야 한다. 칼처럼 생긴 눈칼은 원래 고래 뼈나 동물뼈로 만들었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금속으로도 만든다. 눈벽돌은 6면체이며, 가로 120㎝, 세로 60㎝이며, 높이는 20㎝ 정도로 잘라낸다. 평평하게 다진 눈 위에 첫번째 눈벽돌 줄을 둥글게 두른 뒤 벽돌 위 표면을 안으로 기울게 깎아 나선의 첫 단(段) 모양으로 다듬는다.
그 위에 눈벽돌을 안으로 쏠리게 계속 쌓아 올려 환기구멍만 남기고 완전한 돔 형태를 만든다. 벽돌 사이의 빈틈은 눈으로 채우고 맑은 얼음이나 바다표범의 내장을 끼워 창문을 낸다. 3m 정도 길이의 좁은 반원통형 통로를 통해 안으로 들어가며 그 위쪽 둥근 천장에 해당하는 공간은 필수품을 저장하는 곳으로 쓴다.
외풍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로로 들어오는 외부 입구에는 물개 가죽으로 막을 드리우고 입구 가까이에 반원형의 낮은 옹벽을 만들기도 한다. 실내의 주된 비품으로는 빛과 열을 내기 위해 물개 지방을 태우는 얕은 접시와, 버드나무 가지로 덮고 순록의 털가죽을 씌운 나지막한 눈침대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