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그내로

다른 표기 언어 Louis J. Ignarro
요약 테이블
출생 1941. 3. 31, 미국 브루클린
국적 미국

요약 미국의 과학자.

페리드 무래드, 로버트 F. 퍼치곳과 함께 일산화질소(NO)가 심장혈관계에서 신호 전달 분자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공로로 1998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이그내로는 1966년 미네소타대학교에서 약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뉴올리언스의 툴레인대학교 의과대학(1979)과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교(1985)에서 약리학 교수로 재직했다.

이그내로에게 노벨상을 안겨준 일산화질소의 역할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우선 1977년 무래드는 니트로글리세린 및 그것과 관련 있는 여러 가지 심장약이 혈관 지름을 확장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 후 1980년경 퍼치곳은 혈관 내벽을 이루는 내피 세포들이 혈관확장인자(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EDRF)라 명명한 미지의 신호전달분자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1986년 이그내로는 퍼치곳의 연구와는 별개로 연구를 진행하여 퍼치곳이 EDRF라 명명한 분자가 일산화질소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는 연구를 통해 살아 있는 생물체에서 기체 물질이 신호전달분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발견했다. 퍼치곳과 이그내로는 1986년에 열린 과학 학술회의에서 처음으로 자신들의 발견을 발표해 일산화질소에 대한 국제적인 연구 붐을 일으켰다. 나중에 과학자들은 일산화질소가 체내의 많은 종류의 세포들에서 만들어지며, 다양한 신체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노벨상 위원회는 이 상의 수여와 관련해 하나의 아이러니컬한 이야기를 소개했다.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알프레드 노벨이 심장병을 앓았을 때, 그의 주치의는 니트로글리세린을 투여하라고 권했다. 그런데 다이너마이트는 바로 그 니트로글리세린을 규조토(갑작스런 폭발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함)에 흡수시켜 만든 것이었다. 폭발물이 어떻게 가슴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다는 것인지 도저히 납득할 수 없었던 노벨은 의사의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런데 그 답이 일산화질소에 있다는 것을 과학이 밝혀내는 데 100년이 걸린 것이다.

이그내로의 저서로는 무래드와 함께 쓴 〈산화질소:생화학, 분자 생물학 그리고 치료 암시 Nitric Oxide: Bio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Therapeutic Implications〉(1995)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과학자

과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그내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