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그나티예프

다른 표기 언어 Nikolay Pavlovich Graf Ignatyev
요약 테이블
출생 1832. 1. 29(구력 1. 17),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망 1908. 7. 3(구력 6. 20), 크루포데린치
국적 러시아

요약 러시아의 외교관·정치가.
Ignatyev는 Ignatiev라고도 씀.

범슬라브주의 외교정책을 폈으며 알렉산드르 2세(1855~81 재위) 통치기관 동안 아시아에서의 외교정책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세에 러시아 근위대 장교가 되었고 크림 전쟁이 끝난 뒤 1856년에 열린 파리 회의에 참가함으로써 외교관으로서 첫걸음을 내디뎠다.

1858년 사절단을 이끌고 중앙 아시아로 가서 부하라의 칸과 우호통상조약을 맺었다. 이듬해에는 러시아와 중국의 동부 국경을 확정하는 조약 체결의 임무를 띠고 베이징[北京]으로 파견되었다. 첫번째 협상은 실패했으나 영국과 프랑스의 베이징 점령사태(1860)를 이용해 러시아는 중국의 우방이라는 사실을 확신시키고 베이징 조약(1860)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다. 중국은 이 조약에서 아무르 강 왼쪽 유역의 땅과 우수리 강 및 태평양 사이의 땅은 러시아 영토라고 인정했으며, 결국 러시아가 블라디보스토크를 건설하고 나아가 북태평양 지역에서 중요한 세력으로 떠오르도록 허용한 셈이었다.

중국에서 돌아온 뒤 극동과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를 담당하고는 외무부 내 아시아국 국장이 되었고, 1864년 콘스탄티노플 주재 대사로 임명되었다. 범슬라브주의의 강한 영향을 받고 오스만 제국 내의 그리스도교도인 슬라브족의 해방을 바라면서, 먼저 세르비아 자치공국으로 하여금 투르크와 전쟁(1876~77)을 벌이도록 부추겼으나 이 전쟁은 세르비아의 패배로 끝났다. 이어서 역시 그의 지원을 받고 투르크 지배자들에 대항한 불가리아 봉기(1876)도 실패했다.

그러나 1877~78년 러시아-투르크 전쟁에서 러시아가 투르크를 패배시킨 뒤 그는 산스테파노 조약을 협상했다. 이 조약의 결과 세르비아가 투르크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얻었고, 불가리아는 하나의 국가로 탄생했으며 러시아도 전반적으로 유리한 상황을 맞았다. 그러나 서유럽 국가들은 이 조약을 인정하지 않고 새로운 협상을 모색했다. 그결과 러시아의 이익이 두드러지게 줄어든 베를린 조약(1878)이 그도 손 쓸 수 없이 체결되고 나자 그는 사퇴해야만 했다.

1881년 알렉산드르 3세가 즉위한 뒤 내무장관에 임명되었다. 보수주의자였던 그는 혁명적 무질서 사태가 벌어졌을 때 실시할 비상 보안조치들을 마련했으며, 또한 극단적 민족주의자로서 당국으로부터 저지를 받지 않고 유대인들에게 대한 탄압(1881)이 자행되도록 허용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1861년의 농노해방령을 비롯해 전임자들이 계획했던 몇 가지 자유주의적 개혁도 실시해나갔다.

나름대로의 슬라브주의적 이상도 지니고 있어서 1882년에는 황제에게 17세기의 정치제도인 젬스키 소보르(지방의회)를 부활하도록 건의했다. 황제 알렉산드르 3세는 입헌주의 정부를 세우고자 제안하는 것으로 잘못 알고 1882년 5월 그를 해임했다. 나중에 러시아의 중앙 아시아 통치를 위한 개혁안을 세운 위원회의 의장을 맡기도 했으나(1884), 다시는 영향력 있는 고위직에 오르지 못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그나티예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