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이공수

다른 표기 언어 李公遂
요약 테이블
출생 1308(충렬왕 34)
사망 1366(공민왕 15)
국적 고려, 한국

요약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익산(益山). 할아버지는 언부전서(讞部典書) 행검(行儉)이다. 1340년(충혜왕 복위 1) 감찰규정으로서 과거에 장원급제하여 전의주부가 되었다. 1344년(충목왕 즉위) 우부대언으로 서연(書筵)에서 왕의 글공부를 시독했다. 공민왕 즉위 후 첨의평리·찬성사를 거쳐 정동행성 도사로 임명되었는데, 사양하자 익산부원군(益山府院君)에 봉해졌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의 침입 때 찬성사로서 죽전(竹田)에 주둔했다가, 홍건적이 개경을 침입하자 남행했다. 이듬해 난이 평정된 뒤 찬성사로서 참정 황상(黃裳), 추밀원사 김희조(金希祖)와 함께 개경에 파견되어, 여러 분사의 백관을 거느리고 조정의 정사에 지장이 없도록 했다. 1363년 원나라가 반원 정치개혁을 시도하는 공민왕을 폐하고 덕흥군을 왕으로 세우자, 찬성사로서 밀직제학 허강(許綱)과 함께 원나라에 파견되어 진정표를 제출했다. 그러나 공민왕을 복위시키는 데 실패하고 뜻을 이룰 때까지 고려로 돌아가지 않겠다며 원나라에 머물렀는데, 기황후의 외사촌으로 태자에게 접대를 받았고 그곳에서 태상경(太常卿)까지 지냈다.

1364년 4월 고려에서 좌정승으로 임명되었는데, 다음달에 덕흥군의 우정승으로 임명되었다는 통역관 이득춘(李得春)의 거짓 보고에 따라 좌정승에서 파면되었다. 그해 최유(崔濡)가 원나라 군사 1만 명을 거느리고 덕흥군을 받들면서 고려로 침입했다가 실패한 뒤에 홍순(洪淳)·허강 등과 함께 최유가 다시 모략을 꾸미므로 잘 경비하라는 밀서를 고려에 보냈다. 이로 인해 이득춘의 말이 무고임을 인정받고 고려에서 다시 등용되어 영도첨의로 되고, 추충수의동덕찬화공신(推忠守義同德贊化功臣) 호를 받았다.

이해에 원에서 공민왕을 다시 회복시킴에 따라 원에서 사직하고 고려로 돌아왔다. 그러나 당시 정권을 잡고 있던 신돈(辛旽)의 미움을 받아 파직당했다. 1365년 익산부원군으로 봉해졌다. 공민왕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충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이공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