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조선 말기의 문신·대문장가.
이건창은 정제두(鄭齊斗)의 양명학을 계승한 이른바 강화학파에 속했다. 그의 선대인 이광신(李匡臣)·이광사(李匡師)가 정제두의 제자였으며, 이들의 학문은 그의 고조부인 이충익(李忠翊) 및 종형제 이긍익(李肯翊)·이영익(李令翊), 할아버지 이시원 등을 통해 그에게까지 이어졌다. 그는 성대영(成大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요순 이래 마음을 떠나서 도를 말한 자가 없고, 공맹 이래 도를 떠나서 경을 말한 자가 없다"고 하여 유학은 진실로 심학(心學)임을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입장에서 도(道)와 심의 일치를 주장했고, 자획·음운의 고증을 기본으로 하는 청대의 고증학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홍승헌과 의리의 출처를 논하면서 우리 몸이 의리를 결정하는 것이며, 우리 마음이 의리를 밝히는 것이라 하여 양지론(良知論)의 요체로서 의리를 설명했다. 또 성(誠)은 실리(實理)이고, 실리의 소재는 곧 실사(實事)가 말미암은 바가 되므로, 실리가 내심에 없다면 실사가 성립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이 그는 양명학파의 전통대로 실심(實心)·실리를 강조하고 허명을 배격했다.
1866년 병인양요 때 강화에서 자결한 할아버지의 뜻을 이어받아 철저한 척양척왜(斥洋斥倭)로 일관했던 밑바탕에는 이와 같이 실을 강조하는 사상이 깔려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지도자의 실심이 부강실효(富强實效)의 바탕이 되는 것이지, 다른 나라에서 그것을 구하고자 하는 것은 그른 일이라고 하여 개화사상을 극력 반대했다. 그의 문필은 당대의 청나라 문장가들이 극찬할 만큼 뛰어났다. 한말의 문장가이며 시객(詩客)인 김택영(金澤榮)은 그를 여한9대가(麗韓九大家)의 한 사람으로 꼽았다. 기사문(紀事文)에 능했으며 글씨에도 뛰어났다. 저서로 〈당의통략〉·〈명미당집 明美堂集〉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이건창의 학문과 사상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