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의왕시

다른 표기 언어 義王市
요약 테이블
위치 경기도 중서부
인구 158,332 (2024)
면적 53.97㎢
행정구역 6개동 172개통
사이트 http://www.uw21.net/kr/

요약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시. 1914년 광주군 의곡면·왕륜면이 통합되어 수원군에 속해진 것이 의왕시의 모체이다. 수도권 지역의 성장에 따라 1989년 의왕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서울의 위성도시로 1980년대 이후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제조업과 원예농업이 중심산업이며, 관광지로는 북부 산지와 백운저수지·왕송저수지가 있다. 면적 53.97㎢, 인구 158,221(2024).

대한민국 경기도 중서부에 있는 시. 서울과 수원 중간에 위치한 공업도시로 1989년 시로 승격, 시흥군에서 분리되었다. 고천·부곡·오전·내손1·내손2·청계 등 6개동이 있다(행정동 기준, 법정동 기준은 11개). 시청소재지는 경기도 의왕시 시청로 11이다. 면적 53.97㎢, 인구 158,221(2024).

의왕시

의왕시 행정구역도

ⓒ 장길산/wikipedia | Public Domain

연혁

조선시대까지 의왕시 지역은 광주의 영역이었다. 내손동 등에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어 신석기시대에는 이미 인간의 거주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삼국시대 초기에는 백제의 영토였다가 고구려의 남하로 고구려, 그후 신라의 영토가 되어 신흥주·신주정·한산주 등이 설치되었다. 통일신라시대인 757년에는 한주도독부가 설치되었다. 통일신라 말기에 태봉의 영역에 들었던 이 지역은 고려초 940년(태조 23)에 광주로 개칭되었다.

고려조에도 여러 차례의 행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나 대체로 광주목을 유지했다. 조선초인 1395년(태조 4)에 광주목이 되고, 몇 차례의 변동을 거쳤으나 광주부를 유지했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1895년에 한성부 광주군, 1896년에 경기도 광주군(지금의 광주시)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광주군의 의곡면과 왕륜면이 의왕면으로 통합되어 수원군에 편입되었는데, 이곳이 의왕시의 모체가 되었다.

1936년에 의왕면과 일형면이 일왕면으로 병합되었으며, 1949년에 수원읍이 시로 승격, 분리됨에 따라 나머지 지역이 화성군(지금의 화성시)으로 개칭되어 화성군 일왕면이 되었다. 1963년에 화성군 일왕면이 시흥군 및 수원시로 분할 편입되었다. 이때 9개리가 의왕면으로 개칭되어 시흥군에 편입되었으며, 1980년에 의왕읍으로 승격되고 교통의 편리와 수도권의 성장에 따른 인구의 계속적인 증가로 1989년에 의왕읍이 의왕시로 승격되었다.

1993년 고천동 주민센터 자리에 있었던 시청을 지금의 위치로 이전했다. 오봉산 기슭에 자리한 의왕시청은 경관이 수려하여 의왕도시8경 중의 하나로 꼽힌다. 2007년 의왕시의 한자표기 방식을 '儀旺'에서 '義王'으로 변경했다. 2009년 의왕경찰서가 신설되었다. 2011년에는 부곡동 일대가 철도특구로 지정되었다. 2017년까지 철도공원 및 철도거리 등을 설립하여 철도특화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인구

서울의 위성도시로서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의 인구증가를 보면 1980년 3만 2,882명, 1995년 10만 9,948명으로 15년 동안 인구가 3.4배 정도 늘었으며, 가구수도 같은 기간에 7,446가구에서 3만 5,550가구로 4.7배 정도 늘었다. 2000년대 이후에도 증가추세는 이어져 2005년 14만 6,937명, 2010년 14만 8,786명을 기록했다.

2024년 기준 인구는 15만 8,221명이며 가구수는 6만 4,167가구로 증가했다. 이러한 인구증가는 1980년대 이후 공업화가 활발히 추진되었고 좀 더 값싼 주거지를 찾아 서울로부터 통근인구가 많이 유입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오전동·청계동·부곡동에 전체 인구의 64.6%가 거주하고 있다. 고천동에는 가장 인구가 적게 분포한다(2023).

취락은 크게 서부의 시가지, 동부의 농촌취락으로 구분된다. 서로 떨어져 있는 내손동·고천동·부곡동의 시가지에는 각종 제조업체와 가옥이 밀집해 있다. 시가지로 개발된 지역을 제외한 전체 면적의 88.9%가 개발제한구역에 속해 도시의 발달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

연혁

조선시대까지 의왕시 지역은 광주의 영역이었다. 내손동 등에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어 신석기시대에는 이미 인간의 거주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삼국시대 초기에는 백제의 영토였다가 고구려의 남하로 고구려, 그후 신라의 영토가 되어 신흥주·신주정·한산주 등이 설치되었다.

통일신라시대인 757년에는 한주도독부가 설치되었다. 통일신라 말기에 태봉의 영역에 들었던 이 지역은 고려초 940년(태조 23)에 광주로 개칭되었다. 고려조에도 여러 차례의 행정적인 변화가 있었으나 대체로 광주목을 유지했다. 조선초인 1395년(태조 4)에 광주목이 되고, 1623년에 유수가 파견되는 직할지인 광주부로 승격했다가 몇 차례의 변동을 거쳤으나 광주부를 유지했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해 1895년에 한성부 광주군, 1896년에 경기도 광주군(지금의 광주시)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광주군의 의곡면과 왕륜면이 의왕면으로 통합되어 수원군에 편입되었는데, 이곳이 의왕시의 모체가 되었다. 1936년에 의왕면과 일형면이 일왕면으로 병합되었으며, 1949년에 수원읍이 시로 승격, 분리됨에 따라 나머지 지역이 화성군(지금의 화성시)으로 개칭되자 화성군 일왕면이 되었다. 1963년에 화성군 일왕면이 시흥군 및 수원시로 분할 편입되었다. 이때 9개리가 의왕면으로 개칭되어 시흥군에 편입되었으며, 1980년에 의왕읍으로 승격되고 1983년에 화성군 월암리와 초평리가 편입되었다.

교통의 편리와 수도권의 성장에 따른 인구의 계속적인 증가로 1989년에 의왕읍이 의왕시로 승격되었다.

자연환경

동부에는 청계산에서 뻗어내린 국사봉·바라산(428m)·백운산 등이 이어져 있으며, 서부에는 모락산·오봉산 등의 구릉성산지가 솟아 있다. 이들 산지 사이의 시 중앙부와 서남부는 비교적 낮고 평탄해 이 두 지역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안양천의 본류를 이루는 학의천이 시의 북부를 서쪽으로 지나 안양시로 흐르며, 맑은내가 시의 서남부를 지나 안양천에 흘러든다. 또한 남부에는 황구지천이 남쪽으로 흐르며, 학의천과 황구지천의 상류에는 백운저수지와 왕송저수지가 축조되어 있다. 연평균기온 11.9℃ 내외, 1월평균기온 -2.4℃ 내외, 8월평균기온 26.4℃ 내외이며, 연평균강수량은 1,381㎜ 정도로 비가 많은 편이다. 소나무·참나무·오리나무·도토리나무 등이 자란다.

백운호수

의왕시 학의동에 있는 백운호수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인구와 취락

의왕시

의왕시 전경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서울의 위성도시로서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의 인구증가를 보면 1980년 3만 2,882명, 1995년 10만 9,948명으로 15년 동안 인구가 3.4배 정도 늘었으며, 가구수도 같은 기간에 7,446가구에서 3만 5,550가구로 4.7배 정도 늘었다.

2024년 기준 인구는 15만 8,221명이며 가구수는 6만 4,167가구로 증가했다. 이는 1980년대 이후 공업화가 활발히 추진되었고 좀더 값싼 주거지를 찾아 서울로부터 통근인구가 많이 유입했기 때문이다. 인구의 대부분은 행정동별로 안양시·군포시와 경계를 이루는 오전동·청계동·부곡동에 모여 있는데 특히 안양시와 시가지가 이어져 있는 내손동(내손1·2동 포함)에 전체 인구의 32%가 상주하고 있다.

취락은 크게 서부의 시가지, 동부의 농촌취락으로 구분된다. 서로 떨어져 있는 내손동·고천동·부곡동의 시가지에는 각종 제조업체와 가옥이 밀집해 있다. 시가지로 개발된 지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이 개발제한구역(전체 시 면적의 93.2%인 49.81㎢)에 속해 도시의 발달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

산업과 교통

제조업과 원예농업이 중심산업이다. 총 경지면적 7.62㎢ 가운데 논 2.49㎢, 밭 5.13㎢이며 경지율은 15%이다. 쌀이 주요 생산물이며 그밖에 각종 채소류와 과일 등도 많이 생산된다. 임야는 30.82㎢로 전체 면적의 57%를 차지하며 밤·대추·은행 등의 임산물이 생산된다(2013).

제조업은 서울특별시의 공업분산정책과 안양시·성남시 등 인접도시의 공장 이전에 따라 1980년대 중반 이후 급격하게 성장했으나 1990년대 들어 도시의 발달에 따른 공장이전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다. 2013년 기준 198개 업체에 5,658명의 종업원이 종사하고 있다. 기계공업·섬유공업·화학공업·전자공업이 주요 업종이다. (주)고합·제일모직(주)·한국철도차량 등의 대규모 공장이 있다.

각종 서비스업은 인근의 대도시 상권에 흡수되어 활발하지 못하며, 상설시장 2개소가 있다. 경부선과 수도권전철이 남서부지역을 통과하며, 부곡동에는 철도화물기지창이 있다. 신갈-안산간 고속도로가 시의 남부지역을 동서방향으로 지나고, 의왕-과천간 유료고속화도로가 고천동에서 시의 중앙을 남북으로 관통한다. 도로총길이 164.753km, 포장율 97.7%이다(2013).

신갈-안산간 고속도로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서울과 수원을 잇는 국도가 시의 남서부를 지나며, 북부에는 지방도가 동서방향으로 통과하는데 서쪽은 안양시 인덕원 사거리, 동쪽은 학현(鶴峴)을 지나 성남시 판교동 방면으로 통한다.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공사 가 완공되어 경부고속도로 판교 분기점에서 의왕시 북부를 거쳐 안양으로 이어지는 구간이 개통되어 주변 도시간의 이동거리를 단축시켰다. 도로총길이 164.75km, 도로포장률 97.7%이다(2013).

유물·유적·관광

국가지정문화재(보물 2),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2, 기념물 2), 문화재자료 2점, 등록문화재 9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물·유적인 무늬없는토기 파편과 고인돌이 부곡동에서 발견되었다.

안자묘

안향의 신위를 모신 사당인 안자묘, 경기 의왕시 월암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찰로는 청계동의 청계사가 대표적인 고찰이다. 이 절은 고려시대의 문신인 평양부원군 조인규(趙仁規)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경내에는 동종(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6호)과 소장목판(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35호)이 보존되어 있다. 왕곡동의 청품김씨 재실에는 검재김유선생영정(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7호)이 남아 있다. 지금의 시청자리에 있었던 사근행궁은 정조가 화산의 현륭원을 참배할 때 사용하던 행궁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청계산·국사봉·응봉이 솟아 있는 북부 산지와 백운저수지·왕송저수지 등이 있다. 백운저수지(백운호수 또는 의왕저수지)는 1956년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학의천 상류를 막아 조성한 것으로, 안양시의 비상 식수원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왕송저수지(부곡저수지)는 1948년 월암동 황구지천 상류에 640m의 제방을 쌓아 만든 저수지로 낚시터로 애용된다.

교육·문화·의료·복지

최초의 근대교육기관은 1936년에 개교한 고천공립보통학교(지금의 고천초등학교)이며, 이어서 포일동에 덕장초등학교와 삼동에 부곡초등학교가 1944년과 1945년에 각각 문을 열었다. 1979년에는 특수학교인 계원예술고등학교가 내손동에 설립되었고, 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난 1980년대 들어 백운·내손 초등학교, 의왕·백운 중학교, 우성·정원 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2018년 기준 교육시설은 유치원 24개소, 초등학교 13개교, 중학교 7개교, 고등학교 5개교, 전문대학 1개교, 대학교 1개교, 대학원 1개교가 있다.

전설로는 <오봉산전설>·<월암안터전설>·<모락산전설>·<정3품인 당상소나무 전설> 등이 전해지며, <에헤요>·<둘레소리>·<방아소리>·<얼카덩어리>·<면생이> 등의 구전 민요가 있다. <면생이>는 4~5명이 한 조를 이루어 의미없는 가사를 교대로 부르는 입타령이다.

2017년 기준 의료기관은 병원 1개소, 의원 65개소, 특수병원 2개소, 요양병원 3개소, 치과병원 45개소, 한의원 30개소, 조산소 1개소, 부속의원 1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2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112개소, 노인주거복지시설 5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13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8개소, 아동복지시설 1개소, 어린이집 134개소, 장애인복지생활시설 3개소가 있다. 많은 공장에서 배출되는 공장폐수, 배기 가스, 생활폐수로 안양천·학의천의 수질오염과 대기오염이 매우 심해 시에서는 환경오염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기도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의왕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