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응급환자 또는 불의의 재해 등이 발생했을 때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적절한 진료를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자의 이동 및 진료에 관한 유기적 조직체계.
최근의 산업화·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응급처치를 요하는 각종 사고와 중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질병 발생 후 순간의 신속한 처치가 예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심장질환·뇌출혈발작증후군 등이 주요한 사망원인으로 등장함에 따라 응급의료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응급의료체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응급의료체계는 응급실의 시설이 크게 부족하고 응급의료인력이 전문화되어 있지 않으며, 구급차 및 후송체계의 미비 등으로 제구실을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1991년 7월 1일을 기해 전국을 약 40개의 응급진료권으로 선정하여 해당 지역 내에서 발생한 응급환자에 대해서 적절한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의 시설·장비·인력을 갖춘 지역별 응급의료전문치료병원(응급의료 센터)을 지정했다.
또한 응급의료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 시·도 단위로 11개의 응급의료정보 센터를 구축하는 등 응급의료체계의 구축에 나서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건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