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음정

다른 표기 언어 interval , 音程

요약 두 음의 높이 차이. 단순음정은 한 옥타브 안에서 발생하는 음정이며, 복합음정은 한 옥타브 이상의 음역에서 발생하는 음정으로 다양한 단순음정으로 들리기도 한다.

단순음정은 한 옥타브 안에서 발생하는 음정이며, 복합음정은 한 옥타브 이상의 음역에서 발생하는 음정으로 다양한 단순음정으로 들리기도 한다. 즉 10도 음정(옥타브에 3도 음정을 더한 것, 예를 들면 c-c'-e')은 귀에는 마치 3도 음정(세 음을 포함한 음정, 예를 들면 c-e)과 같은 것으로 들리게 된다. 4개의 완전음정(Perfect interval)이 있는데 이는 동음(P1)과 옥타브(P8), 완전4도(P4), 완전5도(P5)이며 이들 음정은 배음렬에서 가장 아래의 음들이다.

다른 음정들(2·3·6·7도)은 반음이 있고 없고에 따라 장음정(M)과 단음정(m)으로 나뉘게 된다. 완전음정과 장음정은 모두 반음이 더해짐으로써 증음정(augmented interval)이 된다(예를 들면 c-e의 장3도가 c-e#의 증3도가 되거나 c-g의 완전5도가 c-g#의 증5도가 되는 경우). 완전음정과 단음정은 반음이 줄어듦으로써 감음정(diminished interval)이 된다(예를 들면 e-g의 단3도가 e-g♭의 감3도가 되거나 f-c의 완전5도가 f#-c의 감5도가 되는 경우). 이명동음적 음정은 평균율 체계에서 음은 같지만 기보가 다르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예를 들면 c-f를 c-e#로 기보하는 경우로 이는 조에 따라 같은 음정이 달리 기보된 것). 음정은 일정한 진동수 사이의 비례로 산출된다(예를 들면 옥타브 음정은 2:1의 비례로 나타내는데 이는 옥타브를 구성하는 두 음 가운데 높은 음이 낮은 음 보다 같은 시간 안에 그 진동수가 2배라는 뜻). 평균율 체계 밖의 음정을 측정하기 위해서, 특히 비서구음악과 관련하여 옥타브를 편리하게 1,200센트(cent)로 나누기도 하는데 이때 반음, 즉 단 2도 음정은 100센트의 크기를 갖는다. 센트를 단위로 단3도 음정을 측정해 보면 평균율 체계에서는 300센트, 피타고라스 조율체계에서는 294센트, 순정 조율 체계에서는 316센트의 크기를 갖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음악

음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음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