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영천 거조사 영산전

다른 표기 언어 永川 居祖寺 靈山殿
요약 테이블
문화재 지정 국보(1962.12.20 지정)

요약 은해사 거조암에 있는 고려 말기의 목조건물. 낮은 기단에 자연초석을 배열하고 그 위에 건물을 세웠으며 앞면 7칸, 옆면 3칸의 직4각형 평면에 단층 홑처마 맞배지붕의 주심포 건물이다. 건물의 내부바닥에는 고주 사이의 중앙칸을 마루로 높여 불상을 안치하고 그 주위에 벽돌을 깔았다. 이 건물은 양식적으로 무위사 극락전과 비교해 그보다 앞서는 것으로 추정되며, 가구의 세부기법에서 주두나 소로가 다포집과 같은 형태인 점만을 제외하면 주심포의 초기적인 형태를 잘 나타내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은해사 거조암에 있는 고려 말기의 목조건물. 국보(1962.12.20 지정).

은해사거조암영산전

은해사거조암영산전(고려 말기), 국보 제14호, 경북 영천시 청통면 치일리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738년(효성왕 2) 원참조사가 창건했다는 거조암(당시는 거조사였음)이 언제부터 은해사의 부속암자가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이 건물이 해체·수리될 때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1375년(우왕 1)에 건립되고 여러 차례 중수되었다고 한다.

낮은 기단에 자연초석을 배열하고 그 위에 건물을 세웠으며 앞면 7칸, 옆면 3칸의 직4각형 평면에 단층 홑처마 맞배지붕의 주심포(柱心包) 건물이다. 정면은 중앙칸에 판문과 살문으로 이중의 출입문을 설치했고 그외에는 앞면에 4칸, 옆면에 각각 1칸, 뒷면에 1칸 붙박이살창을 설치했다. 건물 옆면의 중앙칸 양옆에 있는 고주가 길며, 그 양옆으로 앞뒤쪽에 변주를 배열하여 툇간을 만들었다.

건물의 내부바닥에는 고주 사이의 중앙칸을 마루로 높여 불상을 안치하고 그 주위에 벽돌을 깔았다. 건물벽과 고주를 따라 불단을 가설하여 총 526구의 나한상을 봉안했다. 내부의 천장은 서까래와 가구가 드러나는 연등천장이다. 건물 전체의 구성이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우며, 정면에서 볼 때 기둥이 낮고 간살이 넓어 안정감이 있는 외관을 이룬 점, 방향이 동북향이라는 점 등이 특징이다.

이 건물은 양식적으로 무위사 극락전(1476 이전에 건립)과 비교해 그보다 앞서는 것으로 추정되며, 가구의 세부기법에서 주두(柱頭)나 소로(小櫨)가 다포집과 같은 형태인 점만을 제외하면 주심포의 초기적인 형태를 잘 나타내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영천 거조사 영산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