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으름난초

다른 표기 언어 Galeola septentrionalis 동의어 개천마, 토통초, 土通草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아스파라거스목 > 난초과 > 으름난초속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
서식지
크기 약 50cm ~ 1m
학명 Galeola septentrionalis Rchb.f.
멸종위기등급 멸종위기 야생생물Ⅱ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요약 난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한국이 원산지이고, 숲에 서식한다. 크기는 50cm~1m 정도이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의 멸종위기등급을 받았다. 꽃은 초여름에서 한여름 사이에 노란빛이 도는 갈색으로 핀다. 열매를 약재로 쓸 수 있다.

으름난초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으름난초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요

외떡잎식물강 아스파라거스목 난초과 으름난초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Galeola septentrionalis Rchb. f.’이다. 열매가 으름같이 생겨서 ‘으름난초’라는 이름이 붙었다. 크기는 약 50cm~1m이다.

형태

크기는 약 50cm~1m이다. 줄기 끝에서는 많은 가지들이 나온다. 잎은 아주 조그만 비늘조각처럼 생긴 삼각형이며 마르면 가죽같이 된다. 노란빛이 도는 갈색의 꽃은 가지 끝에 몇 송이씩 핀다. 꽃의 지름은 약 1.5~2cm이고, 꽃잎과 꽃받침잎의 생김새는 비슷하다. 입술꽃잎은 노란색으로 조금 두껍다. 열매는 붉은색으로 약 6~8cm의 크기로 커진다. 뿌리 속에는 ‘아르밀라리아 멜레아’라는 곰팡이가 있다.

생태

꽃은 6~7월에 핀다. 원산지는 한국이고, 주로 제주도와 충청남도 태안, 전라북도 진안 등에 분포하며 숲에 서식한다. 곰팡이와 공생하는 것이 특징으로, 빛이 잘 들지 않는 습한 땅에서 잘 자란다.

활용

열매를 말려 강장제·강정제로 쓸 수 있다. 부인병에도 도움이 되고, 습진이 생겼을 때에도 효과가 있다. 소변을 촉진하는 데에도 좋다. 식용도 가능한데, 요리의 재료로 쓰거나 술을 담가 마신다. 차로 끓여 마실 수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7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으름난초
다른 백과사전

속씨식물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으름난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