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윤필상

다른 표기 언어 尹弼商
요약 테이블
출생 1427(세종 9)
사망 1504(연산군 10)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윤필상은 세조, 성종, 연산군에 이르는 왕들의 신임을 받아 연산군 때에는 궤장을 받기도 했으나, 갑자사화가 일어났을 때 윤씨 폐비에 동조했던 과거 행적으로 인해 숙청당했다.
1457년 문과중시에 급제한 뒤 도승지 등을 지내면서 왕명을 잘 처리하여 세조의 신임을 받았다. 1467년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고, 1471년(성종 2) 경상도에 가뭄이 들었을 때 진휼사 겸 경상도관찰사로 굶주린 백성을 구제했다. 1479년 명나라의 협공요청을 맞아 서정도원수로서 출진하여 크게 이기고 돌아왔다. 이듬해 성종이 윤비를 폐할 때 이에 동조했다. 1496년(연산군 2) 왕으로부터 궤장을 받는 등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1498년에는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김일손, 정여창 등 신진사림파를 숙청했다. 1504년 갑자사화 때 연산군의 생모 윤씨의 폐위에 간여한 일로 진도에 유배, 사약을 받게 되자 자결했다.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탕좌(湯佐). 할아버지는 충좌위상호군(忠佐衛上護軍) 대로(大老)이고 아버지는 참판 경(坰)이며, 어머니는 이목(李霂)의 딸이다. 1447년(세종 29) 사마시에 합격하고, 1450년 추장문과(秋場文科)에 급제했다. 1453년 저작(著作)을 거쳐 1455년(세조 1) 호조좌랑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오르고 서연관(書筵官)이 되었다.

1457년 문과중시에 급제한 뒤 동부승지·형방승지·도승지 등을 지내면서 왕명을 잘 처리하여 세조의 신임을 받았다. 1467년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우참찬에 오르고 적개공신(敵愾功臣) 1등에 파평군(坡平君)으로 봉해졌다. 같은 해 왕명을 받고 파저강(婆猪江)의 여진족을 토벌한 강순 등이 이끄는 개선군을 위로했다. 1468년 안주선위사(安州宣慰使)에 임명되어 명나라 사신을 맞았으며, 세조가 죽자 3년간 광릉(光陵:세조의 능) 수묘관(守墓官)으로 있었다. 같은 해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올랐다. 1471년(성종 2) 경상도에 가뭄이 들자 진휼사(賑恤使)·경상도관찰사를 겸하면서 이듬해까지 굶주린 백성을 구제했고, 그 공으로 왕으로부터 모의(毛衣)·녹비화[鹿皮靴]를 받았다.

1474년 이조판서·의금부당상을 겸직하고 있을 때 당시 권력을 휘두르고 있던 한명회(韓明澮)·노사신(盧思愼) 등이 이조의 고유권한인 인사권에 간섭한다고 하여 한때 사직했다. 그뒤 복직했으나 1477년 백성들의 재산을 빼앗아 사복을 채웠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당했다. 곧 풀려나와 좌찬성으로 주청사(奏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도중에 건주위 여진족의 정세를 자세히 탐지하여 보고했고, 이듬해 영중추부사를 거쳐 우의정에 올랐다. 1479년 명나라가 건주위를 토벌할 때 조선에게 협공을 요청하자, 서정도원수(西征都元帥)로서 김교(金嶠)·이종생(李從生) 등과 함께 4,0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출진하여 크게 이기고 돌아왔다. 이듬해 성종이 윤비(尹妃)를 폐할 때 이에 동조했다. 1481년 사은사로 다시 명나라에 다녀온 뒤 1484년 영의정에 오르고 파평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이어 기로소에 들어갔다. 1496년(연산군 2) 왕으로부터 궤장을 받는 등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1498년에는 이극돈(李克墩)·유자광(柳子光) 등과 함께 무오사화를 주도하여 김일손(金馹孫)·권오복·정여창(鄭汝昌) 등 신진사림파를 숙청했다. 특히 이전에 불교숭상을 주장하는 간귀라고 자신을 탄핵했던 이목(李穆)도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라 하여 제거했다. 그러나 1504년 갑자사화 때, 앞서 연산군의 생모 윤씨의 폐위에 간여했다고 논죄되어 진도에 유배, 사약을 받게 되자 자결했다. 중종반정 뒤 신원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윤필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