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윤제홍

다른 표기 언어 尹濟弘
요약 테이블
출생 1764(영조 40)
사망 미상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본관은 파평. 자는 경도, 호는 학산·찬하. 아버지는 석복이다.

1792년(정조 16) 생원시, 1794년 정시문과에 급제했다. 사관과 정언을 거쳐 장령으로 있을 때 김달순(金達淳)의 죄를 엄하게 다스리지 않는다고 논했다가 김귀주(金龜柱)의 일파로 몰려 창원에 유배되었다.

1810년(순조 10) 풀려나 청풍군수·제주도경차관·낭천현감을 거쳐, 1830년 풍천부사로 재직중 암행어사 홍희석의 탄핵을 받아 삭직당했다가 1840년(헌종 6) 대사간이 되었다. 사대부 문인들은 물론 지도성 등 여항문인들과도 교유했다. 1803년 김홍도(金弘道)·이인문(李寅文)·김득신(金得臣) 등과 함께 〈고산구곡도 高山九曲圖〉 병풍을 제작하기도 했다.

그의 유작은 70여 점 정도 알려져 있으며, 산수화와 제주도·단양 등의 진경산수화, 산수인물화·괴석·사군자류가 주종을 이룬다. 신위(申緯)는 그의 산수화를 특히 높게 평가했는데, 그의 화풍은 이인상(李麟祥)과 심사정(沈師正) 등 18세기 전반기 문인화가들의 지두화법을 비롯한 남종화풍을 계승하여 보다 초솔하고 파격적인 개성을 이루는 것이었다. 특히 소박한 형태, 굵고 뭉툭한 윤곽선, 조방한 묵법과 느슨하면서도 떨리는 듯한 필체 등은 특이한 조형미와 함께 참신한 느낌을 준다.

대표작으로 〈송하소향도 松下燒香圖〉(개인 소장)·〈파사총보첩 波斯叢寶帖〉(개인 소장)·〈지두산수병풍〉(호암미술관 소장)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화가

화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윤제홍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