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26년 6월 20일 |
---|---|
국가 | 대한민국 |
설립자 | 유일한 |
기업형태 | 기업집단 |
업종 | 종합의약품, 특산품수출, 식료품, 생활용품 제조판매 사업 |
취급품목 |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생활용품, 동물약품, 화장품 등 |
사이트 | www.yuhan.co.kr/ |
본사 주소 | 서울시 동작구 노량진로 74 |
종목코드 | 코스피 000100 |
다음금융 URL | https://finance.daum.net/quotes/A000100#home |
요약 한국의 의약 관련 기업집단. 1926년 유일한에 의해 창립된 유한양행이 모체이다. 주요사업은 각종 의약품, 의약관련공업 등의 종합의약업이다. 유한양행은 외국의 유수한 제약회사와 기술제휴하여 국내 제약업계를 선도했다. 1970년 미국 킴벌리클라크사와 합자하여 유한킴벌리를 설립했으며,1998년 세계 최초로 자체 개발한 면역억제제 고형분사 기술을 미국 쉐링푸라우사에 수출했다. 계열사로 유한양행 외에 유한화학·유한메디카·유한크로락스·유한킴벌리·유유칼믹·한국얀센 등이 있다.
역사
유한양행그룹은 의약원료, 각종 의약품, 의약관련공업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업집단이다. 모기업 (주)유한양행은 창업자 유일한(柳一韓)에 의해 1926년 6월 종합의약품 제조·판매·수출입업체로 창립되었으며, 이후 1933년 만주에 유한창고를 개설했다. 1936년 6월 법인등록을 마치고 현재의 부천 지역에 대규모 공장을 건립하는 등 사세를 확장해 나갔으나 8·15 해방 이후 국토분단과 국가소유변경으로 해외 및 북한 지역의 재산을 상실했다.
남한 지역에서 사업을 재개한 이후 1962년 8월 외국의 8개 유명제약회사와의 기술제휴 등으로 사세를 확장시키고 국내 제약업계를 선도해왔다. 1969년부터는 전문경영인 제도를 시행하여 사장직을 혈연이 아닌 회사 임원 중 한 명에게 물려주기 시작했다. 1970년대 이후 의약품 개발에도 힘써, 항결핵제 원료인 라라진아미드 합성에 성공하고, 항생체인 세프피란을 개발했으며, 위장치료제 유한로섹을 개발 생산했다.
사세가 확장함에 따라 1970년에는 경기도 군포에 대규모 공장을 건립했고, 1984년에는 중앙연구소를 준공했다. 1970년 3월 미국 킴벌리클라크사와 합자하여 유한킴벌리(주)를 설립했으며, 1971년 3월 그룹 설립자의 뜻에 따라 ‘한국사회 및 교육원조신탁기금’을 제정했다. 1980년 7월 한국기술진흥(주)과 합자하여 유한화학공업(주)을 설립했고, 1982년 11월 미국 사이나미드사와 합자하여 유한사이나미드(주)를 세웠으며, 1983년 5월 벨기에 얀센사와 합자하여 (주)한국얀센을 설립했다.
1998년 세계 최초로 자체 개발한 면역억제제 고형분사 기술을 미국의 쉐링푸라우사에 수출했다. 이후 2000년 영국의 제약회사인 스미스클라인비챰사에 항궤양물질 YH1885 기술을 수출했으며, 2010년 업계 최초 정년 연장 및 임금 피크제를 도입했다. 2014년에는 창업 88년만에 제약업계 최초 매출 1조를 달성했다. 2017년 2억 불 수출탑을 수상했다. 2021년 혁신신약 폐얌 치료제인 '렉라자 정'이 조건부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
계열회사로는 모기업 (주)유한양행 외에 주식회사 유한화학·유한사이나미드(주)·(주)유한메디카·(주)유한크로락스·(주)유칼릭스·주식회사 엠지·유한킴벌리(주)·유한화학공업(주)·(주)한국얀센·유한씨앤티·쉐링푸라우코리아(주)·인도현지합작투자사인 G.T.B.L 등이 있다. 그 밖에 재단법인 유한재단, 학교법인 유한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각 계열회사들은 지분 참여만 있을 뿐 독자적인 경영을 하고 있다.
연혁
1926년 : 유한양행 창립
1936년 : 주식회사로 변경하고 경기도 소사에 공장 건립
1941년 : 유한무역공사 설립
1942년 : 본사를 소사공장으로 이전
1962년 : 제약업계 최초로 주식 상장
1969년 : 전문경영인 제도 시작
1970년 : 미국 ‘킴벌리클라크사’와 합작투자로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설립
1977년 : 코락스와 합작투자로 주식회사 ‘유한코락스’ 설립
1980년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와 합작투자로 ‘유한화학공업 주식회사’ 설립
1982년 : ‘유한스미스클라인’, ‘유한에스피’, ‘유한사이나미드’ 설립
1983년 : ‘주식회사 한국얀센’ 설립
1985년 : KGMP 적격업체로 지정
1988년 : 중앙연구소, KGLP 적격시험기관으로 지정
1992년 : 인도 ‘GTBL’사 설립
1994년 : 일본 그레란사에 간장질환치료제 YH439 기술 수출
1997년 : 본사 신사옥 준공(서울시 대방동)
1998년 : ‘면역억제제 고형분사기술’ 미국의 쉐링푸라우사에 수출
2000년 : 스미스클라인비챰사에 항궤양물질 YH1885 기술 수출
2010년 : 정년연장 및 임금피크제 도입
2011년 : 엔솔테크 투자 및 퇴행성관절염 치료제 공동 개발 계약 체결
2014년 : 제약업계 최초 매출 1조 달성
2017년 : 2억 불 수출탑 수상
2021년 : 혁신신약 폐암 치료제 '렉라자 정' 조건부 품목허가 획득
2023년 : (주)프로젠 지분취득
사업 영역과 현황
본사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74에 소재한다. 2023년 12월 기준 2,063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2023년 연간 매출액은 1조 8,590억 원, 영업이익은 568억 원, 당기순이익은 1,340억 원이며, 연말 기준 자산총계 2조 8,141억 원, 부채총계 7,123억 원, 자본총계 2조 1,017억 원, 자본금 778억 원을 기록했다. 주요 매출은 약품 72.05%, 해외 사업 13.01%, 생활 유통 사업 11.58%, 라이선스 수익 0.61%, 기타 2.75%로 구성된다. 2024년 6월 기준 시가총액은 5조 9,595억 원이며, 지분 현황은 유한재단 외 2인 15.92%, 국민연금공단 9.83%, 유한학원 7.41%, 미래에셋자산운용 외 5인 5.06% 등으로 구성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
・ 최종 업데이트 2024.06.13
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