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452(문종 2) |
---|---|
사망 | 1512(중종 7) |
국적 | 조선, 한국 |
요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종효(宗孝), 호는 진일재(眞一齋)·석헌(石軒). 아버지는 지성(之盛)이다.
1489년(성종 20) 식년문과에 급제한 뒤 사유(師儒)에 선임되고, 검열·봉교·정언 등을 역임했다. 1501년(연산군 7) 공안상정청(貢案詳定廳)의 낭청(郎廳)이 되고 이후 장령으로 연산군의 실정을 간하다가 1504년 갑자사화 때 원주로 유배되었다. 1506년 중종반정으로 풀려나 판결사로 특진되었으며, 공조참의·경연참찬관·대사성·황해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그는 관학의 대표자이면서도 사림을 옹호했고, 대사성으로 재임할 때 조광조(趙光祖)·김석홍(金錫弘)·황택(黃澤) 등을 천거했다. 성균관에 재직하면서 성리학 연구에 전심했는데 이기론에 있어서 이기호발(理氣互發)을 주장했다.
정(情)은 성(性)에서 나타나며 순선(純善)한 것이고, 의(意)는 심에서 발동하며 거기에서 선(善)·악(惡)이 있게 된다고 설명하면서, 이(理)가 기(氣)를 끼고서 움직이는 것이 사단의 정(情)이며 기가 움직여 이(理)가 이에 따르는 것이 칠정(七情)이라고 했다. 역학에도 뛰어났으며, 사서삼경에 구결(口訣) 또는 토(吐)를 달아 놓은 〈칠서언해 七書諺解〉를 남겼다.
저서로 〈진일재집〉·〈대학강목잠 大學綱目箴〉·〈성리연원촬요 性理淵源撮要〉 등이 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목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