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4세기초, 사르데냐 |
---|---|
사망 | 370/371. 8. 1, 이탈리아 베르첼리 |
국적 | 이탈리아 |
요약 축일은 12월 16일.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주교 성 아타나시우스의 유명한 지지자,.
니케아 신조의 회복자. 니케아 신조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가 채택한 정통교리로서, 삼위일체의 각 위격이 동등하다고 공포했다.
345년 베르첼리의 초대 주교가 되었고 그 자신이 이끄는 사제들과 공동생활을 했으며, 수도원생활을 목회와 연결시킨 서방교회 최초의 주교였다. 밀라노 공의회(355)에 교황 리베리우스의 사절로 참석하여 아타나시우스가 아리우스주의를 비판했다는 이유로 단죄당하는 문서에 서명하기를 거부했다. 아타나시우스를 지원했다는 이유로 에우세비오는 동방으로 추방당했다.
로마의 황제 배교자 율리아누스에게 사면을 받은 뒤 알렉산드리아 교회회의(362)에 참석하여 니케아 신조에 대한 법령들을 공포함으로써 제국 전역에서 정통신앙과 통일을 회복시키는 데 이바지했다. 이탈리아로 돌아온 뒤 프랑스 푸아티에의 주교 성 힐라리우스와 함께 아리우스주의를 배척했다.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 쓴 편지 3통이 현존하며, 오랫동안 아타나시우스나 타프수스의 주교 비길리우스의 저서로 인정되어온 〈삼위일체에 관하여 De Trinitate〉 가운데 처음 7권은 오늘날 에우세비오의 저서로 간주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베르첼리의 성 에우세비오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