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성원

다른 표기 언어 柳誠源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1456(세조 2)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자 박팽년·성삼문 등과 단종의 복위를 꾀했다.
1444년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1445년 집현전저작랑으로 <의방유취>의 편찬에 참여했다. 1447년 문과중시에 합격했다. 1452년 <고려사절요>를 편찬할 때 최항·박팽년·신숙주·이극감 등과 함께 열전을 담당하여 찬술했다. 춘추관기주관으로 <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다. 1453년 수양대군이 정권을 잡은 뒤 집현전에 정난녹훈의 교서를 만들도록 명하자, 집현전교리로 있던 그는 혼자 남아서 협박에 견디지 못하고 교서를 작성했다. 1454년 <문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1455년 단종의 복위를 꾀했으나 1456년 성균관사예 김질의 고변으로 이 사실이 탄로 나자 자결했다.

유성원

유성원의 글씨, 〈근묵〉에서,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소장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문화. 자는 태초, 호는 낭간(瑯玕). 아버지는 사인(舍人) 사근(士根)이다. 1444년(세종 26) 식년문과에 급제했다.

1445년 집현전저작랑(集賢殿著作郞)으로 〈의방유취 醫方類聚〉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1447년 문과중시에 합격했다. 1451년(문종 1) 사가독서를 했고, 다음해에는 〈고려사절요〉를 편찬할 때 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신숙주(申叔舟)·이극감(李克堪) 등과 함께 열전을 담당하여 찬술했으며, 춘추관기주관으로 〈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다. 1453년(단종 1) 10월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영의정 황보인(皇甫仁), 좌의정 김종서(金宗瑞) 등을 살해하고 정권을 잡은 뒤 집현전에 정난녹훈(靖難錄勳)의 교서를 만들도록 명하자, 집현전교리로 있던 그는 혼자 남아서 협박에 견디지 못하고 교서를 작성했다(→ 계유정난).

이해 11월 장령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 책정의 개정을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454년 〈문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1455년 6월 수양대군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자 그는 박팽년·성삼문 등과 단종의 복위를 꾀했다. 그러나 1456년 성균관사예 김질(金礩)의 고변으로 이 사실이 탄로나자 자결했다. 그뒤 남효온(南孝溫)이 〈추강집 秋江集〉에 육신전을 실어 널리 알려졌다. 1691년(숙종 17) 관작이 회복되었고, 뒤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노량진 민절서원, 홍주 노운서원, 영월 창절사(彰節祠)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경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유성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