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선 텔레비전

다른 표기 언어 cable television

요약 텔레비전 신호를 동축 케이블을 통해 방송하는 시스템.
케이블비전(cablevision)이라고도 함.

이런 시스템은 원거리와 고지대에서 상업방송의 수신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1950년대초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1960년대에 고층 건물에 의한 반사신호로 지역방송의 수신감도가 저하되는 대도시지역에서 많이 쓰이기 시작했다.

유선 텔레비전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흔히 공용 안테나 텔레비전(community antenna television/CATV)으로 알려진 이 유선 시스템은 '공용 안테나'(community antenna)를 높고 장애물이 없는 곳에 설치해 방송 신호를 수신한 후 다시 이것을 동축 케이블을 통해 지역 서비스에 가입된 가정과 시설에 방송한다. 가입자는 초기 설치비와 매달 사용료를 지불한다. 공용 안테나 텔레비전 서비스는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다.

1970년대 중반 이후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 텔레비전 시스템들이 번창하고 있다. 가입자들에게 양질의 신호를 방송해줄 뿐 아니라 추가적인 텔레비전 채널을 제공해준다. 몇몇 이런 시스템들은 50개 이상의 채널을 방송할 수 있는데 그것은 일반적인 텔레비전 방송 대역 내의 신호들뿐만 아니라 대역 밖의 주파수도 사용하기 때문이다. 주파수 변환 장치가 가입자의 텔레비전에 연결되어 방송 대역 밖의 주파수에 실린 신호를 제공하게 해준다. 채널이 증가되므로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방송, 날씨와 증권가 소식, 문화공연, 어떤 단체 및 교육기관에서 만든 프로그램 등 더 많은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많은 케이블 운용회사들은 시의회 회의 및 다른 지역 정부의 활동 등의 방송을 위해 채널을 할당하며, 어떤 운용회사들은 전국 방송망이나 지방 방송사가 방송하지 않는 최근의 영화나 운동경기와 같은 유료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아주 많은 케이블 운용회사들이 제공하는 또다른 특성은 쌍방향 채널 능력(2-way channel capability)으로 이것은 가입자도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방송국이나 정보 센터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케이블 연결을 이용하여 안방의 시청자들은 예를 들면 여론 조사에도 참여할 수 있고 참고문헌으로부터의 인용이나 음악회 일정표 또는 요리법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문서자료나 그림자료를 요구할 수도 있다.

후자와 같은 특성은 비디오텍스(videotex)라 불리는 시스템을 통해 제공받는데 이것은 영국과 독일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가입자가 집에 있는 컴퓨터를 컴퓨터 통신망에 연결하여 정보은행(databank)의 자료를 검색할 수 있고 소매상에 물건을 주문할 수도 있으며 은행기관과 예금 거래를 할 수 있는 등 쌍방향 케이블 텔레비전 시스템으로 여러 실험들이 행해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1995년 3월 2일 개국했다. 시작 당시 유선 텔레비전은 뉴스·영화·스포츠·음악·교육 등 11개 분야, 21개 채널이었으나, 1997년 2월에는 외국어전용 유선 방송국인 아리랑 방송국이 개국하는 등 1997년 9월 현재 29개 채널로 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유선 텔레비전


[Daum백과] 유선 텔레비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