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리왕

다른 표기 언어 琉璃王 동의어 유리명왕, 瑠璃明王, 유리, 類利, 유류, 儒留, 누리, 累利, 여달, 閭達, 여해, 閭諧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18(유리왕 37)
국적 고구려, 한국
재위 BC 19년∼AD 18년

요약 고구려의 제 2대 왕이자 동명왕 주몽의 맏아들로 이름은 유리, 유류, 누리. 어머니는 예씨이고, 성장한 뒤 아버지 주몽이 남긴 징표인 부러진 칼을 찾아 주몽이 세운 고구려로 와서 태자로 책봉되었다가 곧 왕위에 올랐다. 졸본성에서 국내성으로 도읍지를 옮겼으며, 동부여와 선비족, 신나라 등 서북쪽에 자리한 외적의 침입에 맞서 영토를 확장했다. 계비인 치희를 그리는 노래인 <황조가>를 남겼다. 고구려 초기의 기틀을 세운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개요

고구려 제2대 왕(재위 BC 19~AD 18년). 유리명왕(瑠璃明王)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유리(類利)·유류(儒留)·누리(累利)라고도 전하며, 중국의 〈위서(魏書)〉 고구려전에는 여달(閭達), 여해(閭諧)라고 기록되어 있다. 아버지 동명왕(東明王) 주몽(朱蒙)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예(禮)씨이다.

북방으로 영토를 넓히고 수도를 국내성으로 옮겨 고구려의 기틀을 세웠다.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동명왕편(東明王篇)> 등에 기록이 남아 있다.

초기 생애

BC 38년(37년이라고도 함)에 동부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주몽은 유리가 태어나기 전에 동부여를 떠났기 때문에 아버지 없이 자랐다. 성장한 후 아버지 주몽이 남긴 징표인 부러진 칼을 일곱 모 난 주춧돌과 소나무 기둥 사이에서 찾아 내었고, BC 19년 4월 고구려를 세워 동명왕이 된 주몽을 찾아가 이 부러진 칼로 아들임을 입증받고 태자에 올랐다. 그 해 9월 동명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첫 부인은 송양(松讓)의 딸 송씨이다.

주몽의 아들이었던 비류(沸流)와 온조(溫祚)는, 유리가 태자에 오르자 고구려를 떠나 남쪽으로 내려와 비류는 지금의 인천 지역에 미추홀(彌鄒忽)을 세우고 온조는 하남 위례 지역에 백제국(伯濟國)을 세웠다.

환도성(丸都城)

고구려 유리명왕이 국내성으로 천도하면서 쌓은 성이다.

ⓒ Bart0278/wikipedia | CC BY-SA 3.0

주요 업적

BC 18년(재위 2년) 송씨를 비(妃)로 삼았다. 이듬해 왕비가 죽자 화희(禾姬)와 한나라 사람 치희(稚姬)를 계비로 삼았는데, 이들이 서로 싸우고 치희가 떠나자 〈황조가 黃鳥歌〉를 지어 외로움을 노래했다. 국방에 힘써서 외적을 퇴치하고 영토를 넓혔다.

BC 9년 선비족이 국경을 넘나들며 노략질을 일삼자, 토벌하여 항복을 받았으며, BC 6년 부여의 공격을 막아내면서 국방의 중요성을 깨닫고, AD 3년 수도를 졸본성(卒本城)에서 국내성(國內城)으로 옮기고, 위나암성(尉那巖城, 환도성[丸都城]이라고도 함)을 쌓았다. 4년 왕자 해명(解明)을 태자로 삼았으나 해명이 이웃 나라와 외교적 문제를 일으키자 자결하도록 했다.

12년 중국 신(新)나라의 왕망(王莽)이 흉노를 정벌하는 데 고구려 군사가 참여하기를 요구하자 이에 불응했다. 왕망이 이에 분노하여 고구려를 공격하면서 천시하는 뜻으로 고구려 왕을 '하구려후(下句麗侯)'라고 비하하자 오히려 신나라를 공격했다. 13년에는 부여가 침입했는데 왕자 무휼(無恤)에게 나가 싸우게 하여 이겼다. 14년에는 현도군(玄菟郡)의 고구려현(高句麗縣)을 병합했고, 이해에 무휼을 태자로 책봉했다.

18년 두곡(豆谷)에서 죽었다. 시호는 유리명왕(琉璃明王)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유리왕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