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대

다른 표기 언어 Judaea

요약 유대의 중심 지형은 하르예후다로 알려진 고산지대로 예루살렘·베들레헴·헤브론을 포함한다. 이스라엘 민족이 팔레스타인을 정복하기 전에는 가나안 사람들이 이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윗왕은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그곳을 이스라엘 지파들의 연합왕국의 수도로 삼았으며, 예루살렘은 586년까지 유다 왕국의 수도로 남았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중동을 정복한 뒤 유대인들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지배를 받다가 나중에는 셀레우코스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로마의 통치하인 BC 37년 헤로데 왕이 유대 왕으로 임명되었으며, 이후 헤로데의 직계 후손들과 로마 총독들이 번갈아 가면서 통치했다. AD 66년 유대인 반란이 일어나 예루살렘은 파괴되었다. 유대라는 지명은 오늘날의 이스라엘과 거의 같은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유대(Judaea)

ⓒ David Shankbone/wikipedia | CC BY-SA 3.0

나머지 두 지역은 북쪽의 갈릴리와 중앙의 사마리아이다. 유대와 사마리아를 구분하는 뚜렷한 경계선은 없으며 유대의 최남단은 전통적으로 브엘세바 성읍이었다. 유대에는 다양한 지형들이 있지만, 그 중심은 하르예후다(유대의 언덕)로 알려진 고산지대이다. 이 지대는 베델 지역(지금의 람알라)에서 남쪽으로 브엘세바까지 뻗어 있으며, 예루살렘·베들레헴·헤브론을 포함한다.

이스라엘 민족이 팔레스타인을 정복하기 전에는 가나안 사람들이 이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헤브론 성읍이 이 지역의 중심지였다. 이스라엘 지파들이 이 지역에 쳐들어왔을 때 유다 지파는 예루살렘 바로 이남에서부터 네겝 지역(브엘세바 남부지역)에 이르는 지역에 대한 주권을 주장했다. 시므온·베냐민·단 지파도 각기 시기를 달리하여 이 지역에 정착했다.

다윗이 유다 왕이 되었을 때(BC 10세기) 그는 고대 가나안 사람들(여부스족)의 요새인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그곳을 이스라엘 지파들의 연합왕국의 수도로 삼았다. 다윗의 아들 솔로몬 왕이 죽은 뒤(BC 10세기) 북쪽의 10지파가 유다 왕국에서 떨어져나갔지만 예루살렘은 586년 바빌로니아 사람들에게 함락되어 파괴당할 때까지 유다 왕국의 수도로 남았다. 그러나 훗날 페르시아 왕들은 포로로 잡혀간 유대인들이 바빌로니아에서 본국으로 돌아가 성전과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도록 허락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중동을 정복한 뒤 유대인들은 처음에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지배를 받다가 나중에는 셀레우코스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셀레우코스 왕조가 유대인들의 고유 신앙을 탄압하려는 데 맞서 마카베오 가문으로 알려진 유대인 지도자 가문이 등장하여 셀레우코스 왕조를 점차 그 지역에서 몰아내고 유대 왕국을 다시 세웠다. 그러나 가문에 내분이 일어나 BC 63년 로마에게 개입할 빌미를 주었다. 로마의 통치를 받는 가운데 BC 37년 헤로데 왕이 유대 왕으로 임명되었고, 후에는 팔레스타인 전지역의 왕이 되었다(BC 20~4). 헤로데가 죽은 뒤 그 지역은 헤로데의 직계 후손들과 로마 총독들이 번갈아 가면서 통치했다.

AD 66년 유대인 반란이 일어나 예루살렘 시는 파괴되었다(AD 70). 유대라는 지명은 오늘날의 이스라엘과 거의 같은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유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