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미상 |
요약
<요한의 복음서> 14장 22절은 그를 "가리옷 사람이 아닌 다른 유다"라고 하여 예수를 배반한 가리옷 유다와 혼동하는 것을 막는다. 유다는 <마르코의 복음서> 3장 18절과 <마태오의 복음서> 10장 3절에 나오는 다대오일 가능성이 높으며, 음란하고 신을 모독하는 이단설들을 경고한 성서 정경의 <유다의 편지> 저자로 알려진, 예수의 동생 유다일 가능성은 적다.
<요한의 복음서> 14장 22~23절에 따르면, 예수가 최후의 만찬을 끝내고 제자들에게 자신을 나타내 보이겠다고 선언하자, 유다는 "주님, 주님께서 왜 세상에는 나타내 보이지 않으시고 저희에게만 나타내 보이시려고 하십니까?" 하고 물었다. 예수가 승천한 뒤 유다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요한의 복음서〉 14장 22절은 그를 "가리옷 사람이 아닌 다른 유다"라고 하여 예수를 배반한 가리옷 유다와 혼동하는 것을 막는다. 〈루가의 복음서〉 6장 16절과 〈사도행전〉 1장 13절에는 '야고보의 유다'로 언급되어 있는데, 어떤 번역성서들(예를 들면 Revised Standard Version과 New English Bible)은 이 이름을 '야고보의 아들'(즉 알패오의 아들인 사도 야고보의 아들)로 번역하는 반면, 다른 번역성서들(예를 들면 Authorized Version과 Douay Bible)은 '야고보의 형제'로 번역한다.
유다는 〈마르코의 복음서〉 3장 18절과 〈마태오의 복음서〉 10장 3절에 나오는 다대오(레바이우스)일 가능성이 높으며, 음란하고 신을 모독하는 이단설들을 경고한 성서 정경의 〈유다의 편지〉 저자로 알려진, 예수의 동생 유다(마르 6:3, 마태 13:55)일 가능성은 적다.
〈요한의 복음서〉 14장 22~23절에 따르면, 예수가 최후의 만찬을 끝내고 제자들에게 자신을 나타내 보이겠다고 선언하자, 유다는 "주님, 주님께서 왜 세상에는 나타내 보이지 않으시고 저희에게만 나타내 보이시려고 하십니까?" 하고 물었다. 예수가 승천한 뒤 유다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사도 시몬처럼 70년 이전에 활동한 유대인 민족주의 단체인 열심당(Zealots) 출신인 듯하다.
4세기에 처음 등장한 전설들에 따르면, 시몬과 유다는 페르시아에서 활동하다가 순교했다고 한다(〈시몬과 유다의 수난기〉라는 외경에 언급됨). 이에 근거하여 8세기 이후 서방교회는 10월 28일에 이 두 사람을 함께 기념해왔다. 그러나 그리스 정교회는 유다와 다대오를 다른 사람으로 간주하고서, 예수의 동생 유다는 6월 19일에, 사도 다대오는 8월 21일에 기념해왔다. 18세기말 프랑스와 독일에서는 유다를 절대절명의 목적을 지닌 사람들의 수호성인으로 숭배하기 시작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