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발프리도

다른 표기 언어 Saint Wilfrid
요약 테이블
출생 634, 잉글랜드 노섬브리아
사망 709/710. 4. 24, 머시아 온들 수도원
국적 잉글랜드, 영국

요약 축일은 10월 12일. 잉글랜드의 대(大)성인들 중 한 사람이며 수사·주교.
Wilfrid of York라고도 함.

앵글로색슨 교회와 로마 교회의 긴밀한 관계를 수립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켈트 교회에 로마 전례를 확립하고 규율과 판례에 대한 여러 차례의 격렬한 논쟁을 벌이는 데 생애를 바쳤다. 648년 노섬브리아 해안에서 떨어져 있는 유명한 린더스판 수도원에 들어갔다. 그뒤 캔터베리로 갔고, 652년 로마를 향해 길을 나섰다가 프랑스 리옹에서 3년을 지낸 뒤, 657(또는 658)년 노섬브리아로 돌아왔는데 곧이어 왕 오스위우의 아들 앨프리스에게 요크셔의 리펀 수도원을 하사받았다. 663(또는 664)년 갈리아 출신 주교 아길베르투스에게 주교임명을 받았고, 휘트비 교회회의(664)에 아길베르투스의 대변인으로 참석하여 켈켈트 전례를 배척하고 로마 전례를 받아들이자는 주장을 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앨프리스는 그를 요크의 주교로 임명했으나, 켈트 주교들에게 축성받기를 거절하고 프랑스 콩피에뉴에서 축성을 받았다.

한편 오스위우는 발프리도 대신에 성 채드를 요크 주교로 임명했고, 발프리도는 돌아오는 길에 리펀에 정착해 살았다(666~669). 669년 캔터베리 대주교 성 테오도로가 채드를 폐위하자 발프리도는 노섬브리아 수석주교가 되었다.

그는 헥섬에 수도원을 지어 이곳에 베네딕토 수도회 회칙을 도입했다. 677년 테오도로가 발프리도의 교구를 나누자 잉글랜드 성직자로서는 처음으로 로마에 호소했다. 677~678년 겨울 프리지아인들을 개종시키는 일을 도운 뒤 679년 로마에 도착했으며, 교황 아가토와 로마 교회회의(679. 10)는 그의 복직을 명령했다. 그는 지역 공의회를 주재하여 새로운 주교들을 임명한다는 조건으로 그의 교구분할을 받아들였다. 그러나 오스위우를 계승한 엑프리스 왕은 교황의 명령에 복종하기를 거절하고 발프리도를 투옥하는 단호한 조치를 취했다.

풀려난 뒤에는 마지막으로 서식스에 피신하여 그곳 민중을 복음화하고 셀시에 수도원을 세웠다. 686(또는 687)년 엑프리스를 계승한 앨드프리스 왕은 그를 다시 불렀다. 교황 베네딕토 2세와 세르지오 1세는 교황 아가토가 내린 발프리도의 폐위를 무효화하는 법령을 재공포했지만, 발프리도는 명분만 회복했을 뿐이다. 아가토가 승인한 자신의 권리들을 넘겨줄 것을 요구하면서 그는 11년 동안 머시아에서 주교로 일하면서 망명생활을 했다. 702년 공의회가 열렸으나 발프리도는 대주교의 통치를 무조건 받아들일 것을 약속하라는 요구를 거절하고 다시 로마로 갔으며, 704년 이곳에서 그의 소송이 논의되었다.

로마 교회회의는 발프리도에 대한 고발을 심리하여 무죄판결을 내렸으나 이 문제를 잉글랜드 교회회의에 돌려보냈고, 705년 요크셔에서 열린 교회회의에서 이 문제가 다시 논의되었다. 더이상 요크 교구를 요구하지 않은 발프리도는 리펀 수도원과 헥섬 수도원을 얻었고, 705년에는 헥섬 주교가 되었으며, 머시아에 있는 그의 수도원들을 그대로 유지했다. 죽은 뒤 리펀에 묻혔다. 발프리도는 베네딕토 수도회의 회칙에 대한 지식을 보급했고, 대륙의 귀중한 종교자산들을 잉글랜드에 들여왔으며, 예배용 찬송을 개선하도록 도왔다.

요크·리펀·헥섬에서 대(大)건축가로 활동했고, 앵글로색슨족이 독일 민중을 복음화해야 한다는 사상을 맨 처음 품은 사람들 가운데 하나였다. 프리슬란트의 사도이자 네덜란드의 수호성인인 성 빌리브로르도가 그의 열성적인 제자였으며, 성 스위스버스를 주교로 축성하기도 했다. 그는 세속 권력에 종속된 지역교회가 교황권을 무시하는 것에 꾸준히 맞서 싸웠으며, 그당시 잉글랜드에서 교황수위권을 철저히 주장한 보기 드문 인물이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인

종교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발프리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