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일시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세포질이 확장된 부분.
pseudopod라고도 함.
모든 육질충류와 몇몇 편모충류가 이동운동을 하고 먹이를 잡는 데 사용한다. 위족은 고등동물의 백혈구와 같은 일부 세포나 아메바에 의해서도 생기는데, 아메바가 먹이를 먹을 때 위족을 뻗어 먹이를 감싸거나 가늘고 끈끈한 그물을 만들어 잡는다.
원생동물은 4종류의 위족을 가지고 있다. 아메바의 특징인 엽상위족(葉狀僞足 lobopodia)은 뭉툭하고 손가락 모양이다. 사상위족(絲狀僞足 filopodia)은 가느다란 형태로, 끝으로 갈수록 더 가늘어지며 때로는 가지를 쳐 망상구조를 이룬다.
유공충류에서 볼 수 있는 망상위족(網狀僞足 reticulopodia)은 가지를 친 필라멘트로 되어 있으며 먹이를 잡기 위해 융합된다. 방사판족류(放射板足類)의 특징인 유축위족(有軸僞足 axopodia)은 망상위족처럼 길고 끈끈하나 가지를 치지 않으며, 많은 미세소관으로 이루어진 축사(軸絲)가 들어 있다.
사상위족과 엽상위족은 압계(pressure system)에 의해 생기며 망상위족과 유축위족은 두 방향으로 흐르는 세포질유동에 의해 형성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