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위의 내벽에 있는, 단순하게 몇 갈래로 나누어진 세관.
위액과 위벽보호용 점액을 분비한다. 위샘은 위치와 분비형태에 따라 다음 3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분문샘은 위가 시작되는 곳에 있고 중간위샘은 위 중간 부분에 있으며 유문샘은 위가 끝나는 부분에 있다. 분문샘과 유문샘은 점액을 분비하는데, 이는 위벽을 덮어 산과 효소를 희석시키도록 도와줌으로써 위가 자가소화되는 것을 막는다. 중간위샘은 위가 분비하는 소화에 쓰이는 물질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다.
이 위샘은 주로 효소분비세포(주세포), 벽측세포와 목점액세포라는 3가지 유형의 세포로 구성된 가느다란 관이다. 샘의 맨 밑에는 효소 펩신과 레닌(펩신은 단백질을 소화시키고 레닌은 우유를 응결시킴)을 생산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효소분비세포가 있다. 벽측세포 또는 산분비세포들은 샘의 전체에 존재하며 다른 효소들을 활성화시키는 데 필요한 염산을 만든다. 목점액세포의 유일한 기능은 점액을 분비하는 것이다. 위액은 보통 적은 양이 끊임없이 생산되지만 수많은 방법으로 분비가 촉진된다.
음식 맛을 보거나 냄새를 맡는다든지 음식에 대해 생각하면 효소 분비가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또 위액의 생산은 사람이 잠든 동안에는 제한되지만, 잠이 깨면 재개된다. 섭취한 음식은 점액분비에 필요한 촉각적인 자극을 주고 있다. 또한 일부 음식은 효소생산을 활성화시키는 화학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공포·슬픔·의기소침과 같은 심리상태는 위액분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는 반면, 흥분과 적극적인 자세는 분비를 증가시킨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소화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