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먼 곳은 잘 보이나 가까운 것은 희미하게 보이는 시력 장애. 원시의 원인은 크게 모양체근의 운동성 저하, 안구의 앞뒤 거리가 짧아 수정체가 충분히 굴곡되지 않는 경우로 구분된다. 일정 부분은 유전과 관련이 있다. 원시는 망막에 초점을 맺을 수 있도록 양쪽이 볼록한 볼록 렌즈를 착용하여 교정한다. 원시와 반대로 물체의 상이 망막 앞에 맺히는 시력장애를 근시라고 하는데, 근시는 오목 렌즈로 교정한다.
목차
접기정의
멀리 떨어진 물체에 대한 초점은 맞지만 가까운 곳에 있는 물체에 대해서는 초점이 맞지 않는 시력을 뜻하는 말. 원시는 안구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거리가 정상보다 짧은 경우에 자주 발생한다. 원시의 경우, 수정체의 수축력이 부족하여 가까이 있는 물체의 상을 망막에 맺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수정체의 굴곡을 증가시킬 수 없기 때문에 가까운 곳의 상이 흐리게 보인다.
원인
일반적인 원시는 보통 안구 앞뒤 거리가 정상보다 짧은 경우, 물체의 상이 망막의 뒤에 맺혀져 발생하며, 유전적 이유가 원인일 가능성이 많다. 수정체를 조절해주는 모양체근의 운동성이 약하여 수정체의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어린이 원시는 성장하면서 자동적으로 치료되기도 한다.
원시와 노안의 차이
노안은 나이가 들어 수정체의 수축력이 약해져서 초점을 맞추는 데 필요한 굴곡을 만들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노안의 경우 대개 먼 곳의 물체는 잘 보이고 가까운 것은 희미하게 보여서 노안과 원시를 동일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엄밀히 말해 노안은 신체의 노화로 수정체의 조절이 안 되기 시작한 상태를 말한다.
교정 방법
원시는 가까운 곳의 물체의 상이 망막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볼록 렌즈를 착용하여 교정한다. 때로 각막의 일부를 레이저로 깎아내는 라식 수술로 원시를 교정하는 경우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