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324(충숙왕 11) |
---|---|
사망 | 1366(공민왕 15) |
국적 | 고려, 한국 |
요약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원주. 중찬 부(傅)의 증손으로, 아버지는 첨의평리 선지이다. 1339년(충숙왕 복위 8) 국자감시에 합격하고 문과에 급제해 춘추관수찬이 되었다. 충혜왕 복위년간에 판삼사사 이제현(李齊賢)과 안진의 추천을 받아 민식과 함께 서연에 참가했다.
충목왕 때에는 헌납으로서 곽충수와 함께 고신(임명장)도 나오기 전에 정방으로 바로 들어가 인물심사를 맡아 보았던 찬성사 정천기(鄭天起)를 탄핵했다가 왕의 노여움을 받아 파직당했다. 그뒤 1351년(충정왕 3) 서해도안렴사로 파견되었다가 이듬해 공민왕에게 발탁되어 내서사인 겸 좌부대언으로서 기밀사업을 위임받았다. 왕의 신임을 얻어서 지주사로 전직되어 관리를 선발하고 임명하는 일에 참여했다.
1361년(공민왕 10) 홍건적이 쳐들어오자 남쪽으로 피난하는 왕을 호종한 공으로 1363년 홍건적의 난이 평정되자 1등공신이 되었다. 같은 해 첨서밀직사가 되었으며 충근찬화공신의 칭호를 받았다. 1365년 정당문학이 되었는데, 당시 득세하고 있던 신돈(辛旽)의 뜻에 거슬려 파직당했다. 시호는 문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