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통신망은 모든 원격통신에서 주된 역할을 하고 있다.
통신망은 다수의 정보원 사이에서의 통신이 필요하게 되자 등장하게 되었다. 수많은 정보원 사이를 직접 접속하는 것은 경제적·기술적으로 어려우며 이를 해결하는 가장 합리적인 접근 방법은 정보원을 어떠한 통신망의 형태로 조직화하는 것이다. 통신망의 조직화에는 대개 2가지 측면의 문제가 있다. 대부분의 정보원(전화 가입자와 같은)이 대부분의 시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통신 교통량을 어느 국지적인 지역에 집중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에 여러 개의 집중점 사이를 상호접속하여 신호의 적절한 분배가 이루어진다.
통신망을 조직할 때는 통신의 시간 지연을 최소화 하면서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신과 전화 통신망은 통신망 중에서 확립이 잘 되어 있는 전형적인 실례이다. 이것에는 공중 시스템과 사설 시스템이 모두 포함된다. 이밖에도 여러 가지 형태의 데이터 수집과 분배 통신망이 존재하고 있는데 실례로는 원격제어와 산업공정 조작에 사용되는 원격측정(telemetry) 통신망, 철도의 통신망, 대규모의 도시에서 사용되는 자동차 교통량 제어 시스템 등이 있다.
시분할 컴퓨터 시스템과 전산화된 항공기 좌석예약 시스템과 은행거래 시스템, 유선방송 시스템은 현대의 데이터 수집·분배 통신망의 또다른 형태이다. 통신망의 주요한 2가지 종류로는 전화와 전신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전화 가입자는 전형적으로 루프(2선이나 4선)를 통하여 지역 교환대나 중앙 전화국에 접속되어 있으며 중앙 전화국은 다시 계층적 구조의 중계국에 의해서 상호접속되어 있다. 중계국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매개를 중계선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물리적으로는 동축 케이블이나 초단파의 전파로써 연결되어 있다.
최근에 전화 네크워크에 추가된 주요한 것으로는 팩스와 이동전화(이동통신전화)가 있다.
팩스는 문서를 1번에 1페이지씩 주사(走査)하며 각 면에 있는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전화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팩스에 전송하면 수신지에서는 이와 역의 과정을 거쳐서 최초의 형태로 문서를 재생하게 된다. 팩스는 현재 대부분의 사무실에서 필수적인 장비가 되었으며 가정에서도 점차 사용하게 되었다. 이동전화는 유선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을 접속하여 생성된 것이다.
이동전화는 승용차에서 주로 사용되며 원격지에 있는 지구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면 지구국에서는 유선 통신망과 접속된다. 이때 자동차가 이동하면 신호는 어느 지구국에서 다른 지구국으로 자동적으로 접속이 바뀐다. 최근에는 휴대용 이동전화기도 개발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전화의 이동성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개인 전화의 개념이 생겼으며 개개인에게 특정한 전화번호를 부여하게 되었다.
전문 통신망은 간단히 공중 스위칭 통신망과 사설(리스)회선의 2가지 부류로 구분하기도 한다.
공중 스위칭 통신망의 실례로는 일반적인 공중전화 시스템을 데이터 전송과 전달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텔레타이프와 같은 저속 데이터 전송 장비를 텔레타이프 교환 서비스(teletype writer exchange service/TWX)에 접속해 사용하는 것이다. 지난 10년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사설 회선 시스템은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지점대 지점의 통신을 제공해주며 대규모의 시스템의 경우에는 통신망 연결도 제공해준다.
사설회선은 공중선에 비해서 특정한 목적이나 고객에게 할당되어 있으므로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특별히 조건을 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