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아메리카울새는 몸길이가 약 25cm이며 등쪽은 회갈색이고, 가슴은 불그레하며 꼬리깃의 끝은 하얗다. 미국의 도시나 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동성 조류이지만 어떤 해에는 겨울을 북쪽 지방에서 나기도 한다. 지렁이, 곤충, 딸기류 등을 먹는다.
나무나 건물의 돌출부에 둥지를 틀며 4∼6개의 청록색 알을 낳는데 새끼는 14∼16일이면 날 수 있다.
유럽울새는 검은딱새아과에 속하는 떠들썩지빠귀류의 일종으로 유럽 전역과 서아시아, 북아메리카의 일부에 서식한다. 북유럽의 울새는 부분적으로 이동성이지만 보다 남쪽의 울새는 이동하지 않는다.
아메리카울새는 북아메리카에 사는 큰 지빠귀로 미국 동부 사람들에게 매우 친숙한 노래하는 새이다. 초기의 식민지 이주자들은 이 새들의 가슴 색깔이 유럽의 작은 지빠귀류인 유럽울새와 닮았다하여 울새라 불렀다.
아메리카울새는 몸길이가 약 25cm이며 등쪽은 회갈색이고, 가슴은 불그레하며 꼬리깃의 끝은 하얗다. 주로 활엽수림에 살지만 미국의 도시나 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대부분 겨울을 미국 남부에서 떼지어 보내는 이동성 조류이지만 어떤 해에는 겨울을 남부 캐나다 등지 북쪽 지방에서 나기도 한다. 아메리카울새는 지렁이, 곤충, 딸기류 등을 먹는다. 나무나 건물의 돌출부에 둥지를 트는데 둥지의 안쪽에는 튼튼하게 진흙을 바르고, 바깥쪽에는 나뭇가지, 뿌리, 풀, 종이 등을 바른다. 4∼6개의 청록색 알을 낳아 암컷이 약 12∼14일간 품으며 한 계절에 두세 번 새끼를 친다. 알이 깨어나면 수컷이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주며 새끼는 14∼16일이면 날 수 있다.
신대륙지빠귀속의 조류도 흔히 울새라 부른다. 유럽울새는 검은딱새아과에 속하는 떠들썩지빠귀류의 일종으로 유럽 전역과 서아시아, 북아메리카의 일부에 서식한다. 북유럽의 울새는 부분적으로 이동성이지만 보다 남쪽의 울새는 이동하지 않는다. 토실토실하고 부리가 작은 새들로 몸길이는 14cm 정도이며 등쪽은 갈색이 섞인 올리브색이고 배는 희고 얼굴과 가슴은 주황색이다. 주로 곤충을 잡아먹으며 둥지는 나뭇잎, 이끼, 깃털 등으로 벽, 둑, 나무 등의 구멍이나 갈라진 틈에 짓는다. 5∼6개의 알을 낳아 암컷이 13∼14일간 품는데 이 기간동안 수컷이 먹이를 물어다주기도 한다. 새끼들은 12∼14일 자라면 날 수 있다. 보통 새끼를 한 철에 한 배 이상 낳지 않는다. 고음으로 지저귀는 소리를 연중 내내 들을 수 있다.
울새라는 이름은 울새속과 아메리카울새속의 수십 종의 떠들썩지빠귀류 외에도 근연종인 인도울새 등에도 붙여졌는데 인도울새는 몸길이가 약 15㎝ 정도로 깃털이 검은색이고, 어깨에 흰무늬가 있으며 배면 일부는 붉은색을 띤다. 울새(robin)라는 이름은 다른 이름과 혼합하여 쓰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덤불울새류(bush-robin)·숲울새류(scrub-robin)·떠들썩울새류(robin-chat)·까치울새류(magpie-robin)·상사조류(Pekin robin) 등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분포하며 지빠귀와 닮은 딱새과(Muscicapidae)의 솔딱새류 중 일부는 근연종도 아니며 땅에서 먹이를 찾는데도 불구하고 역시 울새류라 부른다. 오스트레일리아에 흔한 자주색울새는 몸길이가 11㎝ 정도이고, 검은색, 흰색, 밝은 자주색을 띤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조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