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울릉군의 산업과 교통

다른 표기 언어

주요 산업은 농업과 어업이다. 총 경지면적은 12.91㎢로 경지율은 17.5%에 불과하며, 그 가운데 논이 0.41㎢, 밭이 12.50㎢로 경지의 대부분을 차지한다(2013). 농업가구는 전체 가구의 10%인 586가구로 그중 전업농가가 대부분이다.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감자 등이며, 특히 식량의 자급률이 5%에 불과해 쌀은 거의 육지에 의존하고 있다. 무·배추·마늘·고추·참깨 등도 소량 생산되며, 한우·닭·오리·돼지 등도 사육된다.

산간지대에서는 특수한 토질과 오염되지 않은 생태환경 때문에 황기·지황·천궁·더덕·도라지 등의 약용작물이 많이 생산되어 최근 울릉도 농업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어가는 전체가구의 10.2%인 555가구이며, 어가인구는 1,268명으로 전체인구의 11.8%이다(2013). 어선은 총 212척 가운데 동력선이 212척이며, 무동력선이 1척이다. 근해에서는 오징어를 비롯해 임연수어(속칭 이면수)·전복·소라 등이 많이 어획되며, 해조류로는 미역과 김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특히 오징어는 지역어업의 주요 산물로서 군 총생산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나, 해류와 수온의 변동에 따라 연생산량의 변화는 심한 편이다. 2013년 기준 총 제조업체수는 16개소이며 종업원 282명이 종사하고 있으며 대부분 식료품제조업체이다. 육지와의 교통이 불편하여 시장을 통한 상업활동은 거의 없었다. 1982년 도동리에 울릉종합시장이 개설되었으나, 곧 폐지되었다.

2006년 현재 근대적인 유통업체로, 수산업협동조합의 연쇄점 1개소와 농업협동조합의 연쇄점 6개소 및 1개의 슈퍼마켓이 도내에 개설되어 있다. 시장이 없어 생필품은 울릉읍의 도동리와 저동리에 위치한 도매상들이 육지에서 생필품을 반입해 공급하고 있다. 근대적인 유통업체로, 수산업협동조합의 연쇄점 1개소와 농업협동조합의 연쇄점 6개소 및 1개의 슈퍼마켓이 도내에 개설되어 있다. 시장이 없어 생필품은 울릉읍의 도동리와 저동리에 위치한 도매상들이 육지에서 생필품을 반입해 공급하고 있다.

군내에는 북부해안을 따라 북면 천부리 섬목마을에서 서면 태하리까지와 남쪽 해안을 따라 울릉읍 저동리 내수전마을에서 서면 남양리까지를 연결하는 지방도가 있다. 육지와는 포항-울릉, 울진군 후포-울릉, 묵호-울릉 간 정기여객선이 1일 1회 운항되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 성수기에는 포항-울릉 간 1일 3회, 후포-울릉 간 1일 2회, 묵호-울릉 간 1일 1회, 속초-울릉 간 1일 1회씩 운항한다. 울릉도의 주요 항구로는 도동항·저동항·현포항·천부항·태하항 등이 있고, 특히 울릉도의 관문인 도동항과 어업전진기지로 개발된 저동항을 제외하면 모두 규모가 작은 편이다. 도로총길이 83km, 도로포장률 76.5%이다(2013).

울릉도 도동항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울릉군의 산업과 교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