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운동의 특성 중의 한 가지인 운동량이 고립된 계(系)에서는 변화하지 않는다는 물리학에서의 일반적인 법칙.
즉 어떤 계의 총 운동량은 일정한 값을 갖게 된다.
운동량은 물체의 질량과 속도를 곱한 양과 같은데 이는 물체가 단위시간 동안에 정지하는데 필요한 힘과 같은 크기이다. 여러 개의 물체에 대한 운동량은 각각의 운동량의 합과 같으며 운동량이 운동의 방향과 크기를 모두 포함하는 벡터량이기 때문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운동하는 물체의 운동량은 서로 상쇄되어 0의 운동량을 가지는 특별한 경우도 있다.
로켓이 발사되기 전에는 연료를 포함하여 로켓의 전체 운동량은 0이다. 발사과정중에는 아래 방향으로 분출되는 배기가스의 운동량이 상승하는 로켓의 위쪽 방향의 운동량과 동일한 값이 되어 시스템의 운동량은 일정한 값, 즉 이 경우에는 0의 값을 유지하게 된다. 두 물체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두 물체가 충돌하기 전에 갖고 있는 운동량의 합과 충돌 후에 두 물체가 갖고 있는 운동량의 합은 동일하다.
따라서 어느 한 물체가 잃는 운동량 만큼 다른 물체의 운동량이 증가하게 된다. 각운동량에도 이와 유사한 보존법칙이 존재하는데 이 법칙에 의하면 회전운동을 선운동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기술한다. 각운동량 보존법칙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서술하는 것은 상당히 복잡한 것이지만 이 법칙의 실례는 여러 가지 들 수 있다. 헬리콥터의 경우에 헬리콥터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 2개의 프로펠러가 필요하다. 만일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가 단지 1개만 있으면 몸체는 각운동량을 보존하기 위해서 프로펠러가 돌아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려고 할 것이다. 빙상선수의 경우에는 각운동량 보존법칙에 의해서 팔을 몸쪽으로 끌어 당기면 회전 속도가 빨라지고 팔을 바깥쪽으로 뻗으면 회전 속도가 느려진다. 운동량 보존법칙은 실험에 의해서 완전하게 확립되었으며 공간이 방향에 대해서 균일하다는, 즉 공간의 어느 한 방향을 다른 방향과 구분하는 자연법칙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타당한 가정을 하면 수학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물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