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우후

다른 표기 언어 Wu-hu , 蕪湖 동의어 Wuhu
요약 테이블
위치 중국 동부 안후이 성 남동부, 양쯔 강 남동쪽 연안
인구 3,696,000명 (2017 추계)
면적 6,026㎢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요약 중국 안후이 성[安徽省] 남동부에 있는 도시이자 하항(河港).
(병). Wuhu. (웨). Wuhu.

우후(Wu-hu)

ⓒ ArtisticPhoto/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양쯔 강[揚子江]과 양쯔 강의 지류인 북쪽의 위시 강[裕溪河], 남쪽의 칭이 강[靑弋익江]과 수이양 강[水陽江]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어, 예부터 매우 중요한 교통 중심지이자 전략적 요지였다. 장쑤 성[江蘇省] 난징[南京]에서 상류쪽으로 130㎞ 정도 떨어져 있으며, 양쯔 강 남동안에 있다. 우후에서 동쪽으로 펼쳐져 있는 양쯔 강 삼각주는 개펄·호수·운하들로 이루어져 있다.

우후는 비교적 일찍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지역으로, BC 6세기에는 오(吳)나라에 속한 구자(鳩玆)라는 도시가 있었다. 한대(漢代 : BC 206~AD 220)인 BC 2세기에 현재의 마을에서 남서쪽으로 약 15㎞ 떨어진 곳에 우후 현[蕪糊縣]이 설치되었다. 진(晉)나라 때인 3세기말과 4세기에 상당히 중요한 행정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나 5세기 이후에는 현의 지위를 상실했으며 인접 지역에 병합되었다.

8, 9세기에 들어 개발되기 시작해, 현재의 위치에 요새인 우후 진(鎭)이 들어섰다. 남당(南唐 : 937~975/976) 때인 10세기초에 다시 현이 되었다. 그후 지금의 난징에 관공서를 둔 승주(昇州)에 속했다가 명·청대(1368~1911)에는 태평부(太平府)의 일부가 되었다. 10세기 이래로 주변지역은 중요성이 급증했으며 인구도 증가했다. 명대인 15세기 이래로는 주요 교역 중심지이자 하항으로 발전했으며, 쌀 교역의 중심지로 널리 알려졌다.

1876년 중국과 영국 사이에 체결된 즈푸 조약[芝罘條約] 따라 대외무역에 개방되었으며, 근대적 도시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우후의 국내 교역량은 상하이[上海]와 난징 다음 가는 제3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대외무역량은 중국의 전체 1/10에도 미치지 못했으며, 무역의 대부분도 일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주요수출품목은 쌀·차·콩·유료종자·철광석 등이었다. 1938년 일본군이 우후를 점령한 이후 막대한 양의 철광석이 일본의 야하타[八幡 : 기타규슈의 일부]에 있는 야하타제철소로 보내졌다.

1930년대에 들어 우후 내지의 교통시설이 개선되었다. 먼저 난징 지역에 간선도로망이 가설되었고, 이어 난징에서 우후를 경유해 퉁링[銅陵]까지 가는 철도가 놓였다. 양쯔 강을 사이에 두고 우후와 마주보고 있는 위시커우[裕溪口]와 안후이 성 북서부에 있는 화이난[淮南] 탄전을 연결하는 철도도 건설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유중 면방직공장과 몇 개의 정미소, 착유공장을 제외하면 사실상 공장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었다.

1949년 이후 사조직인 쌀·차(茶) 동업조합이 해체되면서 우후는 비록 교통 중심지 역할은 유지했으나 상업상의 중요성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그후 우후와 맞은편 기슭에 있는 위시커우의 하항시설이 재건·개선되었다. 우후에서 난징에 이르는 철로는 복선으로 놓여졌다. 1950년대 이래 당시까지 남아 있던 직물공장의 설비도 크게 개선되었다.

1950년대말과 1960년대초에는 제지공장이 들어섰으며, 대규모 자동차공장, 트랙터 수리소, 엔지니어링 공장도 가동에 들어갔다. 또한 공작기계와 계기를 만드는 소규모 공장도 설립되었다. 이러한 개발은 중공업 발전에 중점을 둔 제2차 5개년 계획(1958~62) 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발이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우후는 여전히 교역 중심지이자 집산 중심지로서의 성격이 강했으며, 중공업 분야는 북쪽의 마안산[馬鞍山]과 남쪽의 퉁링으로 인해 빛을 잃었다.

우후에는 쌀·비단·목화·차·밀·달걀을 선적한, 흘수선이 깊은 선박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이들 농산물은 주변 운하와 도로망을 따라 운반된 것이다. 양쯔 강 하류와 광저우[廣州] 지역으로 정기적으로 운반되는 쌀의 주요시장이기도 하다.

지도
우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우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