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우황은 구형·타원형·사각형을 이루고 적황색을 띤다. 큰 것은 살구 정도의 크기이고 작은 것은 콩알만 하다.
주요성분은 담색소·담즙·간액 등이다. 서늘하고 약간의 독이 있으며 맛은 달면서도 쓰다. 주로 심경과 간경에 작용하며 청열해독·식풍정경·개규화담 등의 효능이 있다. 또한 감염성 질환, 패혈증기로 인한 고열, 의식장애, 경련발작 등의 신경계 증상이 있을 때 복령·황연·치자 등의 청열약을 배합한 우황청심환을 쓴다. 만성간염으로 간기능이 악화되고, 혈청 트랜스아미나아제의 수치가 떨어지지 않을 때 우황청심환을 복용하면 수치가 떨어지고 간기능도 개선된다. 뇌졸중으로 인한 의식장애로 가래가 많을 경우 등에도 쓴다.
우황은 알약이나 가루약으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이나 임신부는 모두 삼가야 한다.
우황은 구형, 타원형, 둔한 사각형을 이루고 적황색을 띤다. 큰 것은 살구 정도의 크기이고 작은 것은 콩알만하다. 부수면 가운데 작고 흰 점이 있는데 이것이 원형의 덩어리를 이루어서 점차로 얇은 층이 중첩되는 것이다.
우황은 소의 종류·산지와 채취방법에 의하여 품종에 차이가 있어서 시판되는 우황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주요성분은 담색소·담즙·간액 등이다. 서늘하고 약간의 독이 있으며 맛은 달면서도 쓴맛이 있고, 주로 심경과 간경에 작용한다.
효능으로는 청열해독·식풍정경(병리변화에서 나타나는 중추신경계 증상을 진정시키는 방법)·개규화담(담을 제거하고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하는 작용을 함) 등이 있다. 또한 감염성 질환, 패혈증기로 인한 고열, 의식장애, 번조(가슴에 열이 있어 불안하며 팔다리를 안정시키지 못함), 경련발작 등의 신경계 증상이 있을 때도 우황의 진정·강심 작용을 이용하는데 이 경우에는 복령·황연·치자 등의 청열약을 배합한 우황청심환을 쓴다.
만성간염으로 간기능이 악화되고, 혈청 트랜스아미나아제의 수치가 떨어지지 않을 때 우황청심환을 매일 1알씩 1~2회 복용하면 트랜스아미나아제 수치가 떨어지고 간기능도 개선된다. 뇌졸중으로 인한 의식장애로 가래가 많을 때, 폐감염증으로 기침하며 가래가 많을 경우 등에 쓴다. 또 후부가 붓고 아프며 궤양이 있을 경우와 옹독창양에 사용한다.
우황은 알약이나 가루약으로 배합하여 사용하고 달여서 사용하지 않는다. 비위가 약한 사람 또는 임신부에게는 모두 삼가야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