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한국 국적의 2번째 인공위성.
한국 시간으로 1993년 9월 26일 오전 10시 45분에 남아메리카 프랑스령 기아나에 있는 쿠루 우주 센터에서 아리안(Ariane)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중량 50㎏, 35.2×35.6×67.0㎤의 우리별 2호는 1995년 현재 지상 800㎞ 상공에서 적도와의 경사각 98.6°를 갖는 태양동기궤도를 돌고 있다. 전력생산량은 30W로 갈륨-비소 태양전지판 4개와 니켈-카드뮴 전지를 사용하고 있다.
우리별 1호 개발을 통해 습득된 기술로 제작된 과학실험용 소형 인공위성인 우리별 2호는 차세대 소형 위성을 위한 32비트(bit) 컴퓨터(KASCOM), 지상에서 송신한 정보를 저장했다가 지구상의 원하는 곳에 보내주는 축적 및 전송 통신실험장치(DSFCE), 해상도 2㎞의 컬러 전하결합소자(CCD)와 해상도 200m의 흑백 CCD를 갖춘 지구표면 촬영장치(CEIS), 여러가지 정보를 음성으로 방송할 수 있는 고속 변복조 실험장치(DSPE), 우주환경을 관측하는 저에너지 입자 검출기(LEED), 적외선 영상시스템 실험을 위한 적외선감지기 실험장치(IREX) 등 6개의 실험장비들이 탑재되어 있다.
우리별 2호는 우리별 1호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국내에서 개발된 탑재장치를 사용했으며, 가능한 한 많은 국산부품을 사용한다는 원칙하에 설계·제작되었다. 또한 모든 개발이 순수 국내 연구진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소형위성 개발 관련 기술의 국내 정착과 파급에 크게 기여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