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미겔 우나무노

다른 표기 언어 우나무노 , Miguel de Unamuno (y Jugo)
요약 테이블
출생 1864. 9. 29, 스페인 빌바오
사망 1936. 12. 31, 살라망카
국적 스페인

요약 스페인의 교육자·철학자·작가.

미겔 데 우나무노(Miguel de Unamuno (y Jugo))

ⓒ Agence de presse Meurisse/wikipedia | Public Domain

그가 쓴 수필은 20세기초 스페인에 큰 영향을 끼쳤다. 부모는 바스크인이었으며 빌바오에 있는 인스티투토 비스카이노를 다닌 뒤 1880년 마드리드대학교에 들어가 4년 만에 철학 및 문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6년 뒤 살라망카대학교의 그리스어 및 문학과 교수가 되었다. 1901년 살라망카대학교의 총장으로 취임했으나 제1차 세계대전중 연합국에 대한 공식적 지지를 표명하여 1914년 해직되었다.

1924년 스페인을 지배하는 군사정권에 반대, 프랑스로 강제 추방당했다. 미겔 프리모 데 리베라 장군의 독재정권이 무너지자 살라망카대학교로 돌아와 1931년 총장으로 재선되었으나 1936년 10월 프랑코가 이끄는 팔랑헤 당원을 비난해 또다시 총장자리에서 쫓겨나 가택연금당했다. 그뒤 2개월 만에 심장병으로 죽었다.

우나무노는 지성과 감성, 신앙과 이성 사이의 긴장에 대해 대단한 관심을 가졌던 초기의 실존주의자였다. 그가 주장한 바에 따르면 인간이 지닌 '영생에 대한 갈망'은 오직 이성에 의해서만 거부당하며 믿음에 의해서만 충족될 수 있고 그 사이에서 빚어지는 갈등은 끊임없는 고통을 낳는다. 시인·극작가로서도 뛰어난 재능을 발휘했지만 우나무노는 수필가나 소설가로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개인과 민족의 비극적 인생관 Del sentimien-to trágico de la vida en los hombres y en los puelos〉(1913)에는 그의 원숙한 철학이 가장 잘 반영되었는데, 이 작품에서 그는 인간이 가장 완전한 삶을 살도록 유도하는 데 정신적 고통이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주제와 그밖의 주제들이 〈그리스도교의 고민 La agonía del cristianismo〉(1925)에서 탐구되고 있다. 가장 유명한 소설 〈아벨 산체스 : 욕망의 역사 Abel Sánchez : una historia de pasión〉(1917)는 성서에 나오는 카인과 아벨의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카인으로 등장하는 인물이 고통스러울 만큼 심한 갈등을 일으키는 충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화가를 탐구한 시 〈벨라스케스의 예수 El Cristo de Velázquez〉(1920)는 현대 스페인 시의 뛰어난 본보기로 꼽힌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작가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미겔 데 우나무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