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적혈구가 파괴 또는 분해되는 현상.
haemolysis라고도 씀.
헤모글로빈이 주변의 매질로 유리된다. 적혈구가 항체(리신)와 접촉하더라도 보체라고 하는 혈액요소가 결여되면 용혈을 일으키지 않는다.
용혈은 오래된 적혈구가 파괴되는 정상적인 작용과는 다른 비정상적인 작용으로서 적혈구의 유전적인 결함(유전성구상적혈구증·탈라세미아)이나 화학물질, 뱀 등의 독액, 미생물이 생성하는 독성물질, 서로 다른 혈액형의 수혈, 태아적아구증 상태를 유발하는 태아와 산모의 Rh혈액형 차이 등에서 발생한다.
용혈은 여러 가지 물리적 요소(열, 냉각, 수분의 유입, 음향 등)에 의해 실험실에서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항원-항체 반응 같은 실험실 내 검사에도 이용된다. 생체 내에서는 완충계의 작용으로 인해 물리적 요소에 의한 용혈이 일어나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발작성한랭혈색소뇨증(paroxysmal cold hemoglobinuria) 환자는 추운 곳에 노출되면 스스로 적혈구를 파괴하는 용혈성 물질을 생산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