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요한 프리드리히

다른 표기 언어 Johann Friedrich
요약 테이블
출생 1503. 6. 30, 작센 토르가우
사망 1554. 3. 3, 작센바이마르 바이마르
국적 작센, 독일

요약 작센의 선제후.
(영). John Frederick. 별칭은 Johann Friedrich der Grossm대체이미지tige.

베틴에 있는 작센 왕가의 분가인 에른스트 가문 출신의 마지막 선제후이자 프로테스탄트를 지지하는 슈말칼덴 동맹의 지도자였다.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 황제파 제후들과의 전쟁으로 인해 선제후의 지위 및 영지의 대부분을 상실했다.

선제후 요한의 큰아들로, 1532년 에른스트 가문의 영지를 물려받았다. 종교개혁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슈말칼덴 동맹의 수장으로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 맞서 싸우기를 주저했는데, 그것은 그가 황제의 평화적인 의도를 믿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그는 나움부르크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가톨릭 주교를 프로테스탄트측 인사로 바꿨는데, 이에 격분한 카를 5세는 종교개혁을 저지하기 위해 군대를 일으켰다. 더구나 요한 프리드리히는 부르첸 시를 점령함으로써 그의 6촌 형제인 모리츠, 즉 베틴 왕가의 분가로서 경쟁적인 알브레히트 가문 출신인 작센 공작의 권리를 무시했다.

이로 말미암은 적대감 때문에 독일의 프로테스탄트 제후들은 분열되었다. 모리츠의 도움으로 뮐베르크 전투(1547)에서 슈말칼덴 동맹을 격파한 황제는 알브레히트 분가에 선제후작위를 내렸다. 요한 프리드리히는 부상당해 체포된 후 사형선고를 받았으나 선제후작위와 영지의 상실을 받아들인다는 조건 아래 목숨을 구했다. 그러나 그는 종교문제에 관해서는 타협을 거부하고 아들들과 함께 모리츠와의 화친을 거부했다.

1552년 황제와 모리츠가 전쟁을 벌이는 사이 요한 프리드리히는 풀려났다. 모리츠가 죽자(1553), 그는 선제후 지위를 되찾고 싶어했으나 모리츠의 후계자 아우구스트가 선제후작위를 받음으로써 그의 꿈은 무산되었다. 프로테스탄트 신앙의 순교자로 간주되는 요한 프리드리히는 죽을 때까지 계속 그의 백성들과 동료 제후들의 존경을 받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요한 프리드리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